[뉴스엔뷰] 우리금융그룹은 지난해 당기순이익 3조860억원을 실현해 전년 대비 23.1% 증가한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3조원대 연간 순이익을 회복하며 역대 두 번째 실적을 올렸다.
7일 우리금융에 따르면 이번 순이익은 지난 2022년 기록한 3조1417억원에 이은 역대 두 번째 실적이다. 2023년에는 2조5056억원의 순이익을 거둔 바 있다.
지난해 그룹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9.3%로 전년 대비 1.0%포인트 개선됐다. 4분기 당기순이익은 426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자이익은 8조8863억원으로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중소기업 특화점포 신설, 국가첨단전략산업단지 중점 지원 등으로 기업대출 부문을 9.0% 늘려 자산성장을 이끈 영향이다.
비이자이익은 1조5541억원으로 전년 대비 41.9% 급증했다. 은행 자산관리(WM), 기업금융(IB) 등)과 비은행부문의 다각적인 영업 확대에 힘입어 수수료 이익이 전년 대비 21.3% 증가했다. 순영업수익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 수준까지 확대됐다.
그룹 판매관리비용률은 42.8%로 나타났다. 증권사 출범 등으로 비용이 증가했지만 효율적인 관리로 전년 대비 0.7%포인트 하락했다.
그룹 대손비용은 연간 1조7163억원 규모다. 4분기에도 비은행 자회사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추가 충당금 적립 등 선제적인 조치를 통해 불확실성에 대비한 위험관리역량을 강화했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그룹 0.57%, 은행 0.23%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다. NPL커버리지비율은 그룹 153.0%, 은행 247.4%로 업계 최고 수준의 리스크관리 능력을 갖췄다는 설명이다.
그룹 보통주자본비율은 12.08%로 나타났다. 4분기에 환율 150원 급등에 따라 약 40bp(1bp=0.01%포인트) 하락한 영향이 있었다.
우리금융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우리은행은 지난해 3조39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다. 전년 2조5056억원 대비 21.3%(5388억원) 증가한 사상 최대 실적이다.
관련기사
- 우리은행, 지난해 민생금융 2801억 지원
- 우리은행, '창립 126주년' 총 1억원 상당 이벤트
- 우리카드, '보이스피싱 보상 보험 무료 서비스' 개시
- 우리은행, 노숙인 시설에 3000만원 기부
- 우리은행, 크리스마스 나눔 봉사활동
- 우리카드, 굿네이버스에 2억3000만원 전달
- 우리은행, 사회초년생 '청년 WON MORE 금융닥터' 실시
- 우리금융, 청소년 교육격차 지원 '우리러너2기' 출범
- 우리금융, 기업금융·투자은행 협업 체계 강화
- 우리은행, 적십자와 신탁서비스 공동마케팅 협약 체결
- 우리금융, 생명보험·은행·증권사 시너지 확대
- 우리은행, 첫거래 고객 최고 8.5% 적금 출시
- 우리금융, 다문화 장학생 1000명 장학금 지원
- 우리금융, '가뭄피해' 강릉에 생수 긴급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