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두산그룹이 'AI 시대'에 맞는 혁신전략을 모색하고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로드맵을 구상한다.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가운데)이 22일(현지시간) 미국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방문해 AI 기반 경영혁신 사례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다. / 사진 = 두산 제공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가운데)이 22일(현지시간) 미국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방문해 AI 기반 경영혁신 사례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다. / 사진 = 두산 제공

두산그룹이 인공지능(AI) 전환을 차세대 성장 전략의 핵심 축으로 삼고 글로벌 현장에서 해법 찾기에 나섰다.

박지원 부회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이 미국 시애틀과 실리콘밸리를 찾아 아마존, 엔비디아 등 세계적 AI 기업들과 직접 만나 최신 기술과 활용 사례를 점검하며, 그룹 전반의 경영혁신과 산업별 피지컬 AI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두산은 박 부회장과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 유승우 두산 사장, 김민표 두산로보틱스 부사장 등은 22~25일 미국 시애틀과 실리콘밸리 출장길에 올랐다.

경영진은 아마존, 엔비디아, 퍼플렉시티 등 글로벌 AI 산업의 최전선에 있는 업체들을 방문해 AI 기술 현장을 직접 확인하는 일정이다. 또 이 기업 관계자는 물론, AI 전문가 및 컨설팅 업체 등과도 머리를 맞댄다.

정 부회장은 물론, 주요 사업회사 최고 경영자들이 미국으로 날아가 AI 공부에 나선 것은 'AI 기반 업무 선진화 등 전 분야 혁신이 필요하다'는 경영진의 판단 때문이다.

22일 첫 방문지로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찾았다. 아마존은 AI 기반 음성비서 알렉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고객 패턴 분석, 물류창고 운영, 로봇 자동화 등 다양한 업무 분야에 AI가 깊숙이 자리잡았다.

두산 경영진은 아마존의 AI 기반 제조 및 사무 생산성 개선프로젝트 사례를 살펴본 뒤, 물류센터를 방문해 현장에 적용된 AI 및 로보틱스 기술을 확인하고 협업 방향을 모색했다.

이를 토대로 제조 분야 뿐 아니라, 기업을 구성하는 전 부분에 걸친 AI 혁신과 이를 통한 생산성 향상 과제를 도출해 낼 계획이다.

엔비디아에서는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에 대한 기술현황과 사례를 확인하고, 각 사업부문별 피지컬 AI의 비전과 미래전략에 대한 논의와 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두산은 에너지·건설기계 등 기존 산업에 특화된 피지컬AI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경영진의 엔비디아 방문과 향후 협업은 이를 보다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예정이다.

정 부회장과 경영진은 시간을 쪼개 빅테크 기업 외에도 스탠포드 HAI에서 최예진 교수 등 주요 연구진을 만나 AI 기술현황 전반에 대해 심도 있게 학습하는 시간을 갖는다.

또한 경영진은 피지컬인텔리전스, 퍼플렉시티 등 피지컬 AI, 제조, 사무, 투자, 인사 등 AI와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 및 전문가 집단과 만나 협업을 논의하고 향후 빠른 의사진행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두산 관계자는 "두산은 그동안 AI 관련 조직을 강화하고, 경영진을 대상으로 AI 집중교육을 진행했다""이번 출장을 계기로 AI혁신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며, 실제 사업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찾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