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한미약품이 '미국비만학회(Obesity Week)'에서 체중 감량과 근육 증가를 동시에 실현하는 '신개념 비만치료제(HM17321)'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한미약품 R&D센터 권현주 연구원(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이선명 연구원, 김정국 그룹장이 미국비만학회(Obesity Week)에서 H.O.P 프로젝트 내 비만 신약 과제들의 연구 결과 3건이 담긴 포스터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 한미약품
한미약품 R&D센터 권현주 연구원(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이선명 연구원, 김정국 그룹장이 미국비만학회(Obesity Week)에서 H.O.P 프로젝트 내 비만 신약 과제들의 연구 결과 3건이 담긴 포스터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 한미약품

지난 3(현지시간)부터 6일까지 미국 샌안토니오에서 열린 미국비만학회에서 비만치료제 'HM17321' 비임상 연구 결과 2건을 공개했다.

이번 학회에서는 근 손실이 불가피한 GLP-1 기반 약물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게임 체인저'로서의 잠재력을 입증했다.

HM17321GLP-1을 비롯한 인크레틴 수용체가 아닌 'CRF2(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2) 수용체'를 타깃해 지방만 선택적으로 감량하면서 동시에 근육은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현재 GLP-1 기반 비만치료제는 15~20% 수준의 체중감량 효과를 보이지만, 감량 체중의 최대 40% 수준이 근육 손실에 기인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 식욕을 억제하는 작용 기전으로 약물 중단 시 기초 대사량 감소, 지방 재축적(요요 현상)등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한미약품은 비만 동물 모델에서 HM17321 투약 시, GLP-1 기반 약물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와 유사한 체중 감량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제지방량(lean mass)과 근육량(muscle mass)을 증가시키는 차별성을 확인한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비만 동물 모델에서 매달리기(wire hanging test)를 통해 근육 기능을 평가한 결과, HM17321의 단독요법에 의해 근 기능이 정상 동물 수준으로 회복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또 한미약품은 비만을 모사한 지방세포에서 HM17321 투약 시, 지방 분해(lipolysis)를 촉진하고 지방세포의 표현형을 정상 수준으로 개선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HM17321이 인간 근육세포에도 직접 작용해 근육의 양적·질적 개선에 기여하는 것을 증명했다.

한미약품 R&D센터 연구원들이 미국비만학회에서 차세대 비만 치료제 비임상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한미약품 R&D센터 연구원들이 미국비만학회에서 차세대 비만 치료제 비임상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비만 동물 모델에서 HM17321투약 시 GLP-1 기반 약물인 세마글루타이드와 유사한 체중 감량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제지방량과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차별성을 확인한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비만 동물 모델에서 매달리기를 통해 근육 기능을 평가한 결과, HM17321의 단독요법에 의해 근 기능이 정상 동물 수준으로 회복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또 한미약품은 비만을 모사한 지방세포에서HM17321 투약 시 지방 분해를 촉진하고 지방세포의 표현형을 정상 수준으로 개선하는 것을 확인했다. HM17321이 인간 근육세포에도 직접 작용해 근육의 양적·질적 개선에 기여하는 것을 증명했다.

다른 발표에서는 HM17321이 한미의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HM15275), 세마글루타이드와의 병용요법에서도 단독요법 대비 체중과 지방량의 유의미한 감소는 물론 불가피한 제지방 감소를 보호하는 결과를 소개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6월 미국당뇨학회(ADA)에서 처음 공개했던 HM15275의 후속 비임상 연구 결과 1건도 이번 학회에서 포스터로 발표했다. HM15275는 근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25% 이상 체중 감량 효과가 기대되는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다. 부수적으로 다양한 대사성 질환에 효력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한미약품은 이번 학회에서 HM15275가 식이 조절과 더불어 최적화된 삼중 작용을 통해 대사 표현형을 개선하고 에너지 대사를 늘려 발현된다는 점을 규명했다. 현재 미국에서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며, 20252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오는 11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그랜드볼룸에서 '한미 팜 이노베이션 데이'를 열고, 이 같은 비만 신약들을 비롯한 'H.O.P 프로젝트'R&D 성과와 글로벌 경쟁력을 애널리스트와 투자자들에게 소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