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모든 잘못에 대한 해결점은 사과와 반성에서 부터 시작된다.

잘못된 일에 대해 순서를 건너뛰거나 무시하면 결국 씻을 수 없는 과오를 남기며 그 댓가는 더욱 커져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놓이게 된다.

지난 29일 대한민국 수도 서울 한 복판 이태원에서 156명의 사망자와 151명 부상자가 발생한 대형 참사가 일어났다.

이런 후진국적 참사로 국가적 망신을 물론 국민들이 큰 상처를 입고 고통 받고 있는 상황에서 진정 원하는 건 대통령의 진심 어린 사과와 반성 이다.

그런데 국정의 책임자인 대통령이 참사직후 대국민담화를 발표하면서도 "진상조사와 대책마련이 국정의 최우선 과제" 라며 사과는 없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 이태원 참사 국민애도 기간에도 6일 연속 아침 출근길에 합동 분양소 조문을 이어가며 불교·개신교·천주교에서 주최한 희생자 추모 집회에 참석 했지만 끝내 사과 없는 행보였다.

이는 역대 대통령들의 관련 조문 및 추모 행사 참석과 비교해 이례적으로 많은 횟수로 지난 4일 조계사 위로법회에서는 "대통령으로서 죄송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또 윤 대통령은 7일 국가안전시스템 점검회의를 주재하며 "말로 다할 수 없는 비극을 마주한 유가족과 아픔과 슬픔을 함께하고 있는 국민들께 미안하고 죄송한 마음"이라고 반성의 표현을 했지만 이것은 대국민 사과라고 볼 수는 없다.

대통령의 사과는 공식적인 형식을 갖춰 피해자와 유가족은 물론 국민전체를 향해 명확히 그 뜻을 밝혀야 한다.

대한제국과 일본은 19051117일 을사조약을 체결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조약을 불평등조약이기에 을사늑약이라고도 부르고 있으며, 그 이후 5년 후인 1910829일 대한제국과 일본은 한일합병으로 대한제국이 지구상에서 사라진 일제의 강점기 35년의 세월이 흐른다.

그 사이에 일본은 미국과 동남아 국가를 상대로 1941127일 태평양 전쟁을 일으켜 전쟁은 38개월을 지속 점점 일본에게 전세가 불리하게 진행되다가 194586일과 89일에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폭을 당한 후에 1945815일에 천왕이 항복을 선언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있고 난 후에 일본은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국가에는 전쟁에 대한 사과를 했던 반면 한국에 대해서는 때에 따라 개인적인 또는 지협적인 사과 표명을 했지만 국가대 국가로 공식적인 사과와 반성은 안 하고 있다.

그로 인해 이제까지 한국과 일본은 가깝고도 먼 나라로 간격을 좁히지 못하며 견원지간으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윤 대통령이 사과 요구에 직면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8월 초 수도권 집중 호우 피해 당시 퇴근 논란에 휩싸였을 때가 첫 번째다.

윤 대통령은 집중호우 사태 이틀 만인 810"피해자의 명복을 빌며 불편을 겪은 국민께 정부를 대표해 죄송하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발언 직후 "굳이 사과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해명하고 나서 이를 두고 혼선이 생기자 "첫 번째 사과라는 데 의미를 두지 않는다는 말이었지, 사과는 맞다"고 말해 사과는 진정성를 잃고 빛이 바랬다.

또 윤 대통령이 지난 9월 말 북미 해외 순방 당시 비속어 논란은 현재 진행형이다. 이는 본인이 발언이 무엇이었는지 밝히지 않고 "사과할 일 한 적 없다"면서 오히려 언론의 허위왜곡 보도를 문제 삼으며 언론사를 압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의도 정치판과 여당에서 조차 "윤 대통령은 사과에 인색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배경이다.

천재지변과 같은 불가항력적 사고라 해도 정부 여당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무한 의무을 다해야 한다. 그게 국가 존재의 이유이다.

그 정점에는 대통령이 있다. 이번과 같은 대참사에 희생자와 유가족은 물론 국민들께 사과를 하는 게 먼저다. 어느 한 부서나 몇몇에게 책임을 묻는 것으로 끝나면 참사는 재발될 수 있다.

혹 대통령 자신이 그 책임에 대해 나는 무관하다고 생각한다면 결국 국민들은 또 다른 방법으로 책임을 묻게 될 것이다.

시사평론가 창림
시사평론가 창림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