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장 등 미 정부 고위관계자들이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한화필리십야드(필리조선소)를 관세 협상 타결 직전인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방문했다.
러셀 보트 국장은 트럼프 행정부 1기 예산관리국장을 지낸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미국 조선업 재건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고 있다.
이들이 필리조선소를 방문한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조선협력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포함한 관세협상 타결을 발표했다.
김동관 부회장은 이들과 함께 한화필리십야드의 주요 생산 현장을 둘러보며 한·미 조선업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동관 부회장은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에 관해 "한화가 한화필리십야드를 교두보로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설, 조선 인력 양성, 조선 관련 공급망 재구축, 선박 건조 유지보수(MRO) 등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또 중장기 사업전략과 투자 계획 등을 설명하며 미국 정부의 지원과 협조를 요청했다.
러셀 보트 국장은 외신 인터뷰에서 "한화가 한화필리십야드에서 진행하고 있는 투자와 활동들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존 펠란 장관은 "조선해양 산업 기반을 구축하는 것은 트럼프 정부와 미 해군성의 최우선 순위"라며 "한화필리십야드에서 어떤 투자가 이뤄지고, 조선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지 직접 보는 것이 중요했다"고 밝혔다.
지난 4월에는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방문한 존 펠란 장관은 김동관 부회장의 안내를 받아 거제사업장 내 잠수함과 상선 건조 구역을 살펴보고, MRO 작업중이던 미 해군 7함대 소속의 유콘함도 둘러봤다.
한편, 한화는 지난해 말 한화필리십야드를 인수한 후 설비 투자, 일자리 창출, 기술 이전 등 개편을 진행 중이다. 공정 최적화를 통해 연 1~1.5척 수준인 생산능력을 2035년 10배로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필리조선소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조선업 방침에 따라 미국 내 유력 정치인 및 해군 관계자들이 다수 방문했다.
관련기사
- 한화, 집중호우 피해 복구 위해 20억원 기탁
- 63레스토랑, 40주년 '테이스트 40, 타임 63' 프로모션 진행
- "곧 대전에서 봅시다" 약속지킨 한화 김승연 회장
- 한화그룹, 사장 인사...한화생명 여승주
- 한화, 농협중앙회와 사과농가 '농촌 일손돕기' 봉사활동
- 한화그룹, '한화클래식 2025' 성황리에 종료
- 한화파워시스템, 가스터빈 신기술 공유 'AMC 2025' 성료
- 김동선 한화 부사장, 아워홈 지분 인수 후...전략마케팅TFT 첫 가동
- 한화, 우주 인재 양성 '우주의 조약돌' 4기 모집
- 한화, 아워홈 지분 58.62% 인수 완료
- 한화 김승연 회장, 한화 이글스 KBO통산 1000승 축하
- 한화그룹, 美 필리조선소에 7조 투자
- 한화, 4개 계열사 대표이사 내정
- 63레스토랑, 제철 식재료로 '가을' 메뉴 기획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영국 BAE 시스템즈와 기술 협력
- 한화그룹, 하반기 신규 채용 규모 확대
- 한화그룹,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조기 대금 지급
- 한화 김승연 회장 "세계 최고 수준 원천기술 확보"
- 한화, APEC 정상회의서 '불꽃·드론쇼' 총력 지원
- 한화, 친환경 '맑은 학교 만들기' 신청 접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