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하나은행은 금융권 최초로 '소비자리스크관리 특허'를 취득했다.
이번 특허는 투자성 상품에 내재된 시장 환경과 신용·운영리스크 등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점검하고 투자성 상품 제조·판매 금융사 등에 대한 전방위적인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분석·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하나은행은 특허 기술을 통해 투자성 상품·제조·선정과 판매 단계에서의 위험 요인 점검을 비롯해 이상 징후 탐지, 고객별 리스크 모니터링, 기관 리스크 점검, 위험 발생 시 신속 대응 체계 등을 갖추고 소비자 리스크를 관리 중이다.
하나은행은 해당 특허 기술을 통해 ▷투자성 상품 제조·선정 및 판매 단계에서의 위험요인 점검 체계 ▷투자성 상품 판매후 이상징후 탐지 ▷손님별 리스크 모니터링 ▷제조·판매회사 리스크 점검 체계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 및 확산 방지를 위한 능동적인 위기 대응 체계(선제적 위험 식별 및 경영진 의사결정 지원) 등을 갖추고 소비자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다.
정준형 하나은행 소비자보호그룹장은 "금융소비자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보호하는 혁신기술의 지속적 개발을 통해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위험 투자 상품과 관련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하나은행, '영리치' 맞춤형 '하나더넥스트 LEADERS' 금융연수 진행
- 하나카드, 국내 거주 외국인 '하나 더 이지' 체크카드 출시
- 하나카드 '트래블로그 천일' 여행의 경험을 바꾸다
- 하나은행, '2025 어린이 바둑 페스티벌' 개최
- 하나카드, GLN 국내·해외 QR 결제 서비스 도입
- 하나카드, 개인사업자 대상 '하나 더 소호' 출시
- 하나은행, '춘천 하나50+컬처뱅크' 노후준비 지원센터 개점
- 하나은행, '외화지급보증서' 비대면 발급
- 하나금융, 인천시 취약계층에 기부금 전달
- 하나은행, 만 40세부터 희망퇴직 신청 받는다
- 하나은행, HDC현산 '웰니스 레지던스' 금융파트너 참여
- 하나은행, 미국 서부 'LA 지점' 개점
- 하나은행,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도입
- 하나은행, '대전 D-도약펀드' 1000억 규모 출자
- 하나은행,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증가 1위
이민정 기자
newsnv@abckr.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