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SK텔레콤은 안전한 통신 서비스 이용 환경 구축을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총 2,610건의 악성앱을 발견하고, 차단 조치하는 성과를 거뒀다.
SKT는 경찰청과의 협력을 통해 총 2,610건의 악성앱 설치 의심고객을 확인하여 경찰이 직접 피해자에게 출동해 즉시 삭제 조치를 하는 등 약 4개월 간 약 1,070억 원의 피해를 예방했다.
먼저 SKT는 보이스피싱 악성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AI 모델 기반 분석을 통해 악성앱 유포 링크가 포함된 스미싱 문자를 차단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제공받은 악성 도메인과 IP를 추적해 차단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SKT가 경찰청의 영장 집행을 통해 AI 모델 기반의 분석을 통한 악성앱 설치 가능성이 있는 고객군을 추출하고 데이터를 경찰청에 제공하면, 경찰청은 출동 경찰관이 직접 악성앱이 설치된 피해자들을 일일이 찾아가 악성앱을 직접 삭제·조치해 피해를 줄였다.
SKT와 경찰청의 이 같은 협력은 악성앱 설치로 피해가 우려되는 고객을 현장으로 직접 찾아가서 2차적인 금융사기 피해를 실질적으로 예방했다는 것에 의미가 매우 크다.
최근 스미싱 범죄는 공공기관을 사칭하거나 부고, 청첩장 등 다양한 문자 메시지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해당 URL을 누르고 악성앱이 설치되어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을 탈취하는 식이다.
SKT는 최근 악성앱이 연락처나 문자메시지, 위치 등에 대한 과도한 접근 권한을 요구하여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소액결제 사기, 비대면계좌 개설 등 금융사기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채널을 통해 고객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악성앱 등을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이 ‘23년 4,472억원에서 ‘24년 8,545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한편 SKT는 ‘24년 7월부터 서비스 이용 동의를 받은 고객들을 대상으로 '미끼 문자 AI탐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관련기사
- SKT, AI 분야 스타트업 발굴
- SKT, T멤버십 신규 제휴 및 혜택 늘려
- SKT 유영상 CEO "회원사 확대·협력 강화 통해 AI 혁신 가속화"
- SKT, '아이폰 16e' 공식 출시
- SKT, MWC25서 'K-AI 얼라이언스' 글로벌 진출 지원
- SKT, '에이닷 비즈' 베타 테스트 본격 돌입
- SKT, 엔비디아 GPU H100 기반 'SKT GPUaaS' 출시
- SKT, 'CES 2025' 혁신적 AI 기술 전시
- SKT, 어린이 전용 'ZEM폰 포켓몬에디션3' 출시
- SKT, AI 기술 'CES 2025'서 전시관 운영
- SKT, 불법 유심복제 피해 방지 '유심보호서비스' 안내
- SKT, '사이버 침해' 고객 보호 위한 추가 조치 발표
- SKT, '불법 유심' 복제 차단 업그레이드 시행
- SK텔레콤, 유심 교체 700만 명 '속도전'
- SK하이닉스, '동반성장협의회 간담회' 개최
- SKT, 리벨리온과 국내 AI 생태계 역량 강화
- SK하이닉스, 노조에 성과급 1700% 상향안 제시
- SKT, 신규 AI 서비스 2종 베타 출시
- SK텔레콤, 에이닷 엑스 4.0 2종 오픈소스로 공개
- SKT, 에이닷 '노트' 출시 일주일 만에 30만명 돌파
- SKT, ZEM 카카오톡 채널 오픈 이벤트
- SK텔레콤, '어댑티브 오픈 2025' 성료
- SKT, 'CES 2025'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