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CJ푸드빌이 지난해 전 사업 부문 흑자를 달성하며 4개년 연속 성장세를 기록했다.

국내외에서 베이커리·외식 부문 모두 견조한 실적을 바탕으로 글로벌 F&B 기업으로서 입지를 강화하며 세계화에 박차를 가한다.

CJ푸드빌 로고
CJ푸드빌 로고

28CJ푸드빌에 따르면 2024년 연결기준 매출액 9,092억 원, 영업이익 556억 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7.6%, 22.7% 증가했다.

흑자 전환에 성공한 지난 2021년 이후 4년 연속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같은 기간 매출은 50% 늘고 영업이익은 10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특히 K-베이커리의 인기가 순항하는 가운데 글로벌 사업의 호조로 CJ푸드빌의 전체 영업이익 중 해외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0%에 달한다.

외식 사업도 빕스를 중심으로 한 브랜드별 프리미엄 서비스와 품질이 고객들의 반응을 이끌어내고 주요 거점 상권에 전략적인 출점을 통한 수익성 개선이 주효하면서 흑자구조가 견고해졌다는 평가다.

CJ푸드빌 사업 호조의 주요 배경에는 글로벌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세가 가장 큰 요인으로 평가받는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뚜레쥬르는 현재 9개국에 진출해 약 56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인도네시아베트남에 현지 법인을 두고 있다.

해외법인이 기록한 매출은 2,116억원으로 전년 대비 420억원 증가하였으며, 해외법인의 당기순이익으로 단순 합산한 금액은 2.3배 증가했다.

2030년 미국 내 1000개 매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연내 완공을 목표로 미국 조지아주에 연간 1억 개 이상의 생산능력을 갖춘 공장도 건설 중에 있다. 아울러 아시아에서도 인도네시아와 싱가폴, 말레이시아 등 진출 지역을 넓혀가며 매장 수를 확대하고 있다.

CJ푸드빌의 외식 부문도 수익성 확대 성장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외식 사업 역시 전년 대비 매출이 7.8% 증가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빕스를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전략과 차별화된 매장 콘셉트, 고품질의 메뉴와 서비스를 통한 질적 성장이 요인으로 꼽힌다.

빕스의 프리미엄 전략은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뿐만 아니라 매 계절마다 새로운 콘셉트를 지닌 신메뉴 출시, 무제한으로 즐길 수 있는 '와인&페어링존' 등 고품격 다이닝을 제공한다.

또한 '빕스 마곡 원그로브점'의 경우에는 올해 1월과 2월의 일 평균 매출이 빕스 평균 일 평균 매출 대비 60% 이상 높게 나타나는 등 이러한 흐름은 올해 들어서도 지속되고 있다.

CJ푸드빌 관계자는 "K-베이커리의 글로벌 시장 개척을 통한 해외사업에서 속도를 내며 성장세를 확대할 수 있었다""견고하게 자리잡은 현재의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F&B 기업으로서 한층 더 도약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