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BP1s 선택적·직접적 저해 작용 선도물질
AI 기반 R&D 플랫폼 클로버 통해 발굴
[뉴스엔뷰] JW중외제약 자회사인 C&C신약연구소가 개발 중인 전립선암 치료 연구가 '2024년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사업'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시작된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이하 사업단)은 2021년부터 10년간 국내 신약개발 R&D 생태계 강화, 글로벌 실용화 성과 창출, 보건 의료분야의 공익적 성과 창출을 목표로 신약 개발의 전주기 단계를 지원한다.
C&C신약연구소는 앞으로 2년간 사업단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XBP1s를 직접 억제하는 선도물질(리드화합물)을 최적화하고, 경구용 혁신 항암신약 후보물질을 도출할 계획이다.
이 선도물질은 세포실험에서 XBP1s 단백질에 직접 결합해 이를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암 효과를 보였으며, 종양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전립선암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한 약물 반응 측정에서도 대조군 대비 우수한 항종양 효능을 나타냈다.
C&C신약연구소는 앞으로 XBP1s 표적항암제 선도물질의 구조 최적화 연구를 통해 2025년까지 비임상 신약후보물질을 도출할 방침이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남성에게 두 번째로 흔한 암인 전립선암은 1차 표준 치료인 호르몬 치료제의 저항성과 불응성 때문에 새로운 작용기전의 혁신 신약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다"며 "XBP1s를 타깃으로 하는 선도물질을 전립선암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형암에서도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항암 신약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는 XBP1s 외에도 세포의 성장과 변이, 증식을 조절하는 STAT 단백질 타깃의 신약 탐색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C&C신약연구소의 신약 파이프라인은 사업단 지원 과제로도 연이어 인정받고 있다. 2021년에는 STAT3 표적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의 선도물질 최적화 연구, 2022년에는 STAT3 표적 항암제 JW2286의 비임상 연구, 2023년에는 STAT5/STAT3 이중 표적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의 선도물질 최적화 연구가 각각 국책과제로 선정됐다.
관련기사
- JW중외제약, '프렌즈 아이드롭' 새 광고 배우 김지원 발탁
- JW중외제약, 美 학회서 'JW0061' 전임상 결과 발표
- JW중외제약, 혈우병 환자 위한 '브라보 캠페인' 개최
- JW그룹, JW홀딩스-JW생명과학 대표이사 변경
- JW중외제약, 혈우병 환자 '헴리브라' 약효·안전성 입증
- JW이종호재단, 장애 미술인 공모전 '2024 JW 아트어워즈' 개최
- JW중외제약, 2분기 매출 1707억원…영업익 125억
- JW중외제약, 유튜브 'R&D코너' 채널신설
- JW중외제약,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 효과 첫 입증
- JW이종호재단, 장애인 공모전 '2024 JW 아트 어워즈' 시상식
- JW중외제약,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라베칸듀오' 출시
- JW중외제약, '헴리브라' 투약환자 검사 국내 상용화
- JW중외제약, '세계 빈혈 인식의 날' 캠페인 실시
- JW신약, '듀크레이 네옵타이드 엑스퍼트' 심포지엄 개최
- JW중외제약,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바로젯' 병 포장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