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JW중외제약은 오는 15~18일까지 미국 텍사스주 달라스에서 열리는 미국 피부연구학회에서 Wnt 표적 탈모치료제 'JW0061'의 전임상 결과를 포스터 발표한다.
7일 JW중외제약에 따르면 JW0061은 Wnt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해 모낭 증식과 모발 재생을 촉진시키는 혁신신약(First-in-Class) 후보물질로, JW중외제약의 AI(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사이언스 플랫폼 '주얼리(JWELRY)'를 통해 발굴됐다고 밝혔다.
Wnt 신호전달경로는 배아 발생과 신체 성장 과정에서 피부 발달과 모낭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피부 줄기세포의 모낭 분화를 촉진한다. 특히, 모근 끝에 위치해 모발의 성장과 유지를 조절하는 모유두(Dermal Papilla) 세포 증식에도 관여한다.
JW0061은 모유두 세포에 있는 GFRA1 단백질에 직접 결합해 Wnt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한다.
특히 JW중외제약은 'Wnt 2022' 학회에서 발모 작용기전을 규명한 최초의 저분자 약물 사례로 JW0061를 공개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번 미국 피부연구학회에서 인간 피부 오가노이드(장기 유사체)를 포함한 다양한 모델의 효능 평가 결과를 공개한다.
오가노이드는 환자들의 장기 조직뿐만 아니라 구조·기능적 특이성을 재현한다.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으며, 직접 임상시험을 하지 않고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차세대 신약 개발 기술이다.
더불어 전임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내 임상 1상에 착수할 계획이다. 현재 해외기관에서 GLP(Good Laboratory Practice, 비임상시험규정)에 따른 독성평가를 마쳤으며, 임상용 약물을 생산하고 있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다양한 비임상 시험에서 JW0061의 우수한 모발 성장과 모낭 신생성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며 "이번 학회 발표를 통해 기존 탈모치료체를 보완, 대체하는 혁신적인 치료 옵션으로서의 JW0061 개발 가능성을 국제적으로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JW0061'의 물질 특허가 등록된 것은 지난해 러시아(3월)와 호주(7월)에 특허를 취득한 바 있다.
JW중외제약은 한국과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 10여개국에 특허를 출원했다.
관련기사
- JW중외제약, 혈우병 환자 위한 '브라보 캠페인' 개최
- JW중외제약, 혈우병 환자 '헴리브라' 약효·안전성 입증
- JW중외제약, 테라젝아시아와 '마이크로니들' 탈모치료제 개발
- JW중외제약, 탈모치료제 'JW0061' 호주 특허 등록
- JW중외제약 C&C신약연구소, 엠비디와 '환자 맞춤형 혁신 항암제' 개발
- JW그룹, JW홀딩스-JW생명과학 대표이사 변경
- JW중외제약, '프렌즈 아이드롭' 새 광고 배우 김지원 발탁
- JW중외제약, '전립선암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
- JW이종호재단, 장애 미술인 공모전 '2024 JW 아트어워즈' 개최
- JW중외제약, 2분기 매출 1707억원…영업익 125억
- JW중외제약, 유튜브 'R&D코너' 채널신설
- JW중외제약,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 효과 첫 입증
- JW이종호재단, 장애인 공모전 '2024 JW 아트 어워즈' 시상식
- JW중외제약,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라베칸듀오' 출시
- JW중외제약, '헴리브라' 투약환자 검사 국내 상용화
- JW중외제약, '세계 빈혈 인식의 날' 캠페인 실시
- JW중외제약,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바로젯' 병 포장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