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KB금융그룹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KB금융은 지난 2011년부터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며 고객과 사회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ESG 주요 성과와 활동을 공개하고 있다.
28일 KB금융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는 9개의 중대주제와 4개의 일반주제 등 총 13개의 핵심주제로 구성돼 있다. 핵심주제는 '기업이 환경·사회 등과 상호간 주고받는 영향'을 고려하는 이중 중대성(Double Materiality)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됐다.
보고서는 ▲리스크 관리 ▲기후변화 대응 ▲상생금융 ▲금융소비자보호 ▲디지털 혁신과 기술 등 5개 주제를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4대 핵심요소인 거버넌스, 위험관리, 전략, 지표와 목표를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다.
리스크 관리 부문에서는 다양한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체계와 전략 등을 소개했다.
기후변화 대응 부문에서는 올해부터 연결회계기준으로 확대 산출한 '내부배출량 및 금융배출량'과 함께 고도화된 기후시나리오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재무적 영향력을 도출한 결과 등이 공개됐다.
상생금융 부문에서는 금융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상생금융 상품·서비스와 장애인·외국인·시니어 고객을 위한 금융접근성 강화 노력, 소상공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등 KB금융이 국민과 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실천하는 실질적인 활동들이 상세하게 담겼다.
또 금융소비자보호 부문에서는 금융소비자의 권익을 증진시키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KB금융의 철저한 금융소비자보호 체계가, 디지털 혁신 및 기술 부문에서는 KB금융의 다양한 금융플랫폼과 AI기술을 활용한 사용자 편의성 강화 사례들이 소개됐다.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 사항을 반영해 국제 표준인 GRI 등 글로벌 공시 기준을 준수해 작성됐다.
다양성 확대 전략인 'KB Diversity 2027'의 추진 로드맵에 따라 '다름을 경쟁력'으로 만들어가고 있으며, 2030년까지 ESG금융 50조원을 목표로 하는 'KB GreenWave 2030'전략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은 최고경영자(CEO) 인사말에서 "지속가능성의 본질은 서로가 조화롭게 공존하고 상생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긍정적인 영향력을 바탕으로 고객과 사회의 행복,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세상을 바꾸는 금융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KB금융그룹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KB금융은 지난 2011년부터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며 고객과 사회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ESG 주요 성과와 활동을 공개하고 있다.
28일 KB금융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는 9개의 중대주제와 4개의 일반주제 등 총 13개의 핵심주제로 구성돼 있다. 핵심주제는 '기업이 환경·사회 등과 상호간 주고받는 영향'을 고려하는 이중 중대성(Double Materiality)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됐다.
보고서는 ▲리스크 관리 ▲기후변화 대응 ▲상생금융 ▲금융소비자보호 ▲디지털 혁신과 기술 등 5개 주제를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4대 핵심요소인 거버넌스, 위험관리, 전략, 지표와 목표를 기반으로 설명하고 있다.
리스크 관리 부문에서는 다양한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체계와 전략 등을 소개했다.
기후변화 대응 부문에서는 올해부터 연결회계기준으로 확대 산출한 '내부배출량 및 금융배출량'과 함께 고도화된 기후시나리오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재무적 영향력을 도출한 결과 등이 공개됐다.
상생금융 부문에서는 금융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상생금융 상품·서비스와 장애인·외국인·시니어 고객을 위한 금융접근성 강화 노력, 소상공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컨설팅 서비스 등 KB금융이 국민과 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실천하는 실질적인 활동들이 상세하게 담겼다.
또 금융소비자보호 부문에서는 금융소비자의 권익을 증진시키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KB금융의 철저한 금융소비자보호 체계가, 디지털 혁신 및 기술 부문에서는 KB금융의 다양한 금융플랫폼과 AI기술을 활용한 사용자 편의성 강화 사례들이 소개됐다.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 사항을 반영해 국제 표준인 GRI 등 글로벌 공시 기준을 준수해 작성됐다.
다양성 확대 전략인 'KB Diversity 2027'의 추진 로드맵에 따라 '다름을 경쟁력'으로 만들어가고 있으며, 2030년까지 ESG금융 50조원을 목표로 하는 'KB GreenWave 2030'전략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은 최고경영자(CEO) 인사말에서 "지속가능성의 본질은 서로가 조화롭게 공존하고 상생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긍정적인 영향력을 바탕으로 고객과 사회의 행복,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세상을 바꾸는 금융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KB금융, 전국 846개 '무더위 쉼터' 운영
- KB금융, KPGA투어 '리브챔피언십' 개최
- KB금융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 양종희 회장 동참
- KB금융공익재단, 1인가구 경제자립 위한 금융교육 진행
- KB금융,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여성 영세 사업자 지원
- KB금융, S&P 글로벌 '2023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서 'Top 1%' 기업 선정
- KB금융지주 및 KB국민은행 부점장급 인사
- KB금융, '상반기 경영진워크숍'에서 경영전략·실행방안 논의
- KB금융그룹 양종희 회장 "상생과 공존으로 패러다임 전환해야"
- KB금융, '저출생 시대의 경고' 영상 공개
- KB금융, 집중호우 피해 복구 긴급 지원에 나서
- KB금융공익재단, 전세사기 피해 대응·예방 교육
- KB금융, 리움미술관과 감감체험 프로그램 '콘택트먼트' 지원
- KB금융그룹, 메이저 대회 'KB금융 스타챔피언십' 개최
- KB금융, '한국기업 150'서 1위 금융사로 선정
- KB금융, 소상공인 육성 지원 '스타콘 페스타' 개최
- KB리브모바일 '골든라이프 요금제' 이용으로 기부금 전달
- KB금융, 대전시와 '소상공인 저출생 정책 지원' 협약 체결
- KB금융, 금융 콘텐츠 플랫폼 'KB의 생각' 300만 돌파
- KB금융, '꿍따리 샤바라' 음원 수익금 초록우산에 기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