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정부가 경기 둔화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며 경계수위를 높였다. 특히 고물가와 수출 감소, 경제심리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사진 = 뉴시스
사진 = 뉴시스

기획재정부는 13'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가운데, 내수회복 속도가 완만해지고 수출 감소 및 경제심리 부진이 이어지는 등 경기둔화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대외적으로는 통화긴축 속도, 중국의 방역상황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가운데, 주요국 성장둔화 및 러·우크라 전쟁 향방 등에 따른 세계경제 하방위험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12월부터 리오프닝(오프라인 활동 재개)을 했지만 확진자가 굉장히 빠르게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경제활동이 지난해 4월 상하이 봉쇄 당시보다 더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실물경제 쪽이 아직 정상화되지 않은 모습이 우리 수출 실적에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설 물가 등 민생 안정에 총력 대응하면서 수출·투자 등 경제활력 제고 및 대내외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3대 개혁 등 경제체질 개선 노력도 가속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요 지표를 보면 12월 수출은 반도체 등 정보기술(IT)품목의 동반 위축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 감소한 5499000만 달러였다. 15대 주요 수출 품목 중 자동차(28%), 석유제품(23%), 이차전지(30%), 선박(76%) 4개 품목만 증가하고 11개 품목은 감소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24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9.5%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SI)89.9로 전달보다 3.4p 상승했지만, 여전히 100에 크게 미달하는 비관적 분위기를 지속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74로 전월보다 1p 내려갔고, 1월 전망은 70으로 전달 대비 하락 폭이 4p로 더 벌어졌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