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지난달 26일 세 모녀의 자살 이후 동반자살이 잇따라 일어나고 있다. 경기 동두천 ‘미안하다’는 글씨가 적힌 세금고지서와 함께 엄마와 아들이 숨진 채 발견됐다. 같은 날 서울 화곡동에서도 한 부부가 생활고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3일에도 경기 광주에서 아버지가 자식 둘과 함께 극단적인 선택으로 세상을 등졌다.
이에 전문가들은 ‘베르테르 효과’라고 부르고 있다. 베르테르 효과란 유명인 등의 자살 소식이 전해지면서 모방 자살이 잇따르는 현상을 말한다. 독일의 문호 괴테가 1774년 출간한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서 유래했다.
즉, 세 모녀의 자살 이후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이 “저 세 모녀도 저렇게 자살을 했는데 나라고 별 수 있겠는가”라면서 동반자살을 선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함께 자살자들의 심리적 요인을 분석해 예방대책을 마련한다는 것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동반자살은 사실 미래가 없다는 심리 때문에 발생한다. 그것도 자신의 가난이 ‘대물림’될 것이라는 불확실한 미래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만약 가난이 ‘대물림’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생긴다면 동반자살은 꿈도 꾸지 않게 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가난이 ‘대물림’됐기 때문에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주변 사람들 역시 동반자살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고 베르테르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이를 하루라도 빨리 끊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박근혜정부는 ‘경제민주화’와 ‘복지’를 내걸고 탄생됐다.
하지만 경제활성화로 방향을 선회하면서 ‘경제민주화’와 ‘복지’가 많이 퇴색됐다. 문제는 이런 사이에 동반자살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동반자살에 대해 정치권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이 실질적으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
또한 복지가 의무가 아닌 권리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뜨겁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