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여성이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이유는 자녀 양육이 아니라 결혼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일 발표한 동국대 민세진 교수의 ‘20세 이상 여성 5천887명에 대한 여성 고용률 제고 방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20세 이상 여성 중 기혼 여성이 미혼 여성보다 경제활동을 접을 확률이 37.8%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 ⓒ뉴시스
고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둔 여성이 무자녀 여성보다 경제활동을 그만둘 확률은 2.9% 더 높았다.

여성이 직장생활을 포기하는 주된 요인으로 지목됐던 자녀 양육보다 결혼이 10배 이상으로 여성의 경력단절과 상관성이 높다는 것이어서 매우 특징적인 연구 결과라고 전경련은 소개했다.

반대로 여성의 경제활동을 촉진시키는 요인은 가구주인지 여부와 나이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인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경제활동을 하고 있을 확률이 23.9% 높았고 대상을 50대 여성으로 한정하면 확률은 33.3%까지 높아졌다.

20대 여성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경제활동에 참가할 확률이 68.4% 높았다. 20대 초반보다 대학과 대학원 등을 거친 20대 중·후반에 사회에 진출하는 여성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교육 수준은 경제활동 여부와 상관성이 높지 않았다. 교육을 많이 받은 여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경제활동에 참여할 확률은 0.05% 높은 데 불과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