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고소득층 소비가 국내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 10% 증가하면 새로운 일자리는 연간 16만8천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한 해에 7조2000억 원 가량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성근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9일 '소득계층별 소비여력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2012년 기준 고소득층 가구의 비중은 18.5%에 불과하지만 소비여력은 96조원으로 전체의 55.2%에 달한다"며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

▲ ⓒ뉴시스
소비여력은 가구별로 실질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나머지 액수를 뜻한다.

고소득층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2006년 538만 원에서 2012년 587만 원으로 연평균 1.5% 증가했다.

소비지출도 2006년 310만 원에서 2012년 323만 원으로 연평균 0.7%씩 늘었다.

따라서 고소득층의 소비여력은 2006년 월평균 228만 원에서 2012년 264만 원으로 36만 원 증가한 셈이다.

같은 기간 동안 중산층의 월평균 가구당 소비여력은 73만원으로 고소득층 소비여력의 25%에 불과했다.이들의 소비여력은 주택대출 이자비용이나 노후 준비용 저축과 보험료 지출 용도로 쓰이기 때문에 실제 소비로 이어지기는 힘든 형편이다.

같은 기간 동안 저소득층의 소비여력은 월평균 -22만 원에서 -24만 원으로 오히려 축소됐으며, 적자가구 비중도 높아 소비 확대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