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기업 10곳 중 4곳이 신입사원 채용할 때 스펙 중심에서 벗어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올 상반기 신입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 285개사를 대상으로 ‘스펙 중심의 채용전형 변화 계획’을 조사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44.2%가 ‘스펙중심 채용에서 벗어나도록 변화를 줄 것’이라고 응답했다.

▲ ⓒ뉴시스
우선 85.7%가 ‘면접전형’을 변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11.9%가 ‘서류전형’을, 2.4%가 ‘인적성검사’를 바꾸겠다고 밝혔다.

기업의 33.3%가 ‘실무면접 비중 강화’를, 31%가 ‘자격조건 없는 열린 채용 도입’, 26.2%가 ‘인성면접 비중 강화’, 23.8%가 ‘자유기재항목 등 자기 PR 기회 제공’, 21.4%가 ‘1, 2차 등 단계별 심층 면접 진행’, 19%가 ‘자격조건 일부 폐지 등 기준 완화’ 16.7%가 ‘이력서 항목 줄이거나 양식 간소화, 14.3%가 자기소개서 항목 다양화 차별화를 꼽았고, 7.1%가 ’이색적이거나 다양한 면접 실시‘를 하기로 했다.

채용방식의 변화 이유에 대해 45.2%가 ‘인재상에 부합하는 인재를 뽑기 위해서’라고 답했고, 33.3%가 ‘고스펙과 직무능력은 관계없어서’, 26.2%가 ‘스펙만으로 지원자를 세세히 파악하기 부족해서’, 19%가 ‘우수인재를 확보하기 위해서’, 16.7%가 ‘스펙은 어차피 변별력이 낮은 것 같아서’, 11.9%가 ‘고스펙자를 뽑아도 조기이탈이 많아서’라고 답했다.

채용 문화가 바뀐다면 앞으로 어떤 면을 면접에 중요시하게 생각할까. 우선 69%가 ‘책임감, 성실성 등 인성’을, 33.3%가 ‘근속의지 등 조직 적응태도’, 31%가 ‘잠재력, 성장성’, 26.2%가 ‘직무 수행 능력’, 23.8%가 ‘창의, 창조적 사고’, 23.8%가 ‘팀워크, 리더십 등 사회성’, 21.4%가 ‘가치관 등 성향’ 등을 꼽았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