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된 ‘유시민-이정희’의 대담집 <미래의 진보>에 이어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가 지난 12일자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다음 주중 민노당과 시민사회 등 각 주체가 모여 협의체를 구성할 것”이라는 발언이 전해진 직후 ‘유시민-이정희’ 밀약설(?)이 수면 위로 급부상하고 있다.



유시민 대표와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의 공조 행보가 또다시 진보진영에 미묘한 파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


진보진영 내에 팽배한 ‘유시민 비토’는 연석회의의 핵심 정파들이 참여당 합류 문제를 논의하기 전에 유 대표가 너무 앞서나간다는 정서적 반감이 내포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보대통합과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대표자 연석회의’에 참여한 주체 중 민주노동당과 시민사회 등을 제외한 나머지 정파에서 ‘유시민 비토’ 정서를 확산시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특히 진보신당 내부에서는 유 대표와 이 대표가 진보신당을 고립시킨 채 모종의 거래를 한 게 아니냐는 유시민-이정희 거래설이 부상하면서 비토 정서가 팽배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이미 출간된 ‘유시민-이정희’의 대담집 <미래의 진보>에 이어 또다시 진보신당이 소외될지 모른다는 위기감의 반작용인 셈이다.


지난 4월 국민참여당이 연석회의의 합류 의사를 밝힌 직후 진보진영이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성과 성찰’, ‘정책의 좌클릭’을 요구하며 유 대표를 압박했지만, 그의 사과정치가 오히려 진보진영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유 대표가 지난 5일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에 찾아가 참여정부의 한미 FTA 추진에 대해 사과하자, 진보정치세력의 연대를 위한 교수-연구자 모임(진보교연)은 즉각 유 대표의 대선 불출마를 요구하고 나섰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진보신당은 유 대표가 최근 발간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기관지 <노동과 세계>와의 인터뷰 직후 “유 대표의 사과는 악어의 눈물로, 노무현 정부의 비정규직 양산법이 신자유주의의 핵심”이라고 대응했던 부분도 진보진영의 반발인 것.


하지만 국민참여당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강하게 부인했다. 이백만 국민참여당 대변인은 모 언론과의 전화통화에서 ‘유시민-이정희 밀약설’과 관련해 “사실이 아니다, 일일이 대응하는 게 변명 같아서 대응하지 않을 뿐”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대변인은, 지난 9일자 <한겨레>는 국민참여당이 내년 총선에서 야권의 통합이나 연대가 불발될 경우 수도권 등에서 지역구 후보를 내지 않고 비례대표로 총선을 치를 것이라고 보도한 부분에 대해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 독자노선을 주장하는 쪽이 그런 방안을 내놓았고, 타당하다고 생각해 논의해보자는 것”이라며 “그 문제는 이미 한 달 전부터 당 내부에서 공론화된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