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합당, 오는 8월말 재검토하기로 결정
진보신당은 26일 송파구민회관에서 열린 당 대회에서 전체 대의원 480여명 가운데 380여명이 참석, ‘진보진영 대표자 연석회의 최종 합의문 승인의 건’과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결의 채택의 건’에 앞서 진로와 관련된 특별결의문을 당 대회 의장 발의로 상정해 표결 인원 349명 중 202명의 찬성으로 채택했다.
하지만, ‘진보진영 대표자 연석회의의 최종합의문’은 인정하되 민주노동당과의 최종 합당은 오는 8월말 재검토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민주노동당 역시 오는 8월말 경 수임기구 구성 및 당 대회를 통한 최종 의결을 남겨둔 바 있어 사실상 진보 양당의 통합 여부는 8월말이나 돼야 결말이 도출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진보신당과 민노당 등 연석회의 주체들은 향후 북한 태도와 NL(자주파)-PD(평등파)간의 패권주의와 국민참여당의 통합 문제, 당명, 강령, 당헌 등의 규정을 둘러싼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노회찬 진보신당 상임고문은 27일 PBC라디오 <이석우의 열린세상>에서 합의문 의결과 관련, “여러 가지 미흡한 점을 인정한 것이지만, (연석회의에서) 합의한 자체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런 전제하에 아직까지 합의하지 못한 부분을 추가로 논의해 8월 말경 합의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노 고문은 북한 태도에 대한 양당의 견해차에 대해 “(진보신당과 민노당이)상당한 인식의 접근을 보았다. 북한의 권력 승계에 대한 이견은 있지만, 당을 함께 하지 못할 정도의 견해차는 아니다”라며 진보진영의 패권주의와 관련, “과거 잘못된 당 운영 방식에 대해서는 민주노동당도 성찰을 하고 있고, 진보신당도 함께 책임을 져야 한다”라며 북한 태도와 패권주의에 대한 합의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에 따라 향후 진보대통합의 성사여부는 국민참여당의 진보대통합 ‘참여’에 일정부분 무게를 두고 있다.
그간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연석회의의 주체들은 참여당을 향해 신자유주의 노선의 반성과 성찰을 끊임없이 요구해 왔다.
연석회의의 한 축인 진보정치세력 연대를 위한 교수·연구자 모임(진보교연)의 상임대표인 김세균 교수도 지난 23일 <프레시안>과의 인터뷰에서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에게 “신자유주의자로, 절차적 민주주의 측면에서는 진보적이지만 실질적 민주주의 측면에서는 진보가 아니다. 연대의 대상은 맞지만, 조직적 통합의 대상은 아니다”라고 날 선 말을 뱉은 적이 있다.
노 고문도 참여당의 진보대통합 참여 여부와 관련, “일단 국민참여당은 연대의 대상이다. 연대를 넘어 당을 함께하기 위해서는 주요한 정책 노선 등이 같은지 점검할 필요가 있지 않겠느냐”면서 “충분히 열어 놓고 (참여당의 참여여부를)검토해야겠지만, 내년 선거에 너무 급급해 할 필요는 없다”며 사실상 참여당의 불가 입장을 재확인 시켰다.
한편 유시민 대표가 26일 진보신당 당 대회에서 “축사를 위해 연단에 올라왔지만, 어떤 말씀을 드려야 할지 솔직히 조금 난감하다”며 “진보신당이 어떤 선택을 하든지 존중하며 참여당은 그 선택이 가져올 정치지형 변화를 받아들이고 지혜롭게 적응할 것”이라고 말했으나, 축사가 시작되자 진보신당 독자파로 추정되는 일부 대의원과 당원들이 피켓시위를 벌이는 등 ‘유시민 비토 정서’를 표출하는 모습이 연출되기도 했다.
전용상 기자
chuny98@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