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수출 동향 점검 회의를 열고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리스크를 점검했다.

사진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사진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에도 한국의 올해 18월 수출은 지난해보다 0.9% 증가한 4,538억 달러를 기록했다.

15대 주요 수출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16%), 자동차(1%), 바이오헬스(6%) 6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고, 철강(-7%), 석유제품(-15%), 석유화학(-12%) 등은 감소했다.

특히 한국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는 인공지능(AI) 및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에 메모리 가격 반등까지 겹치며 역대 최대 수출을 경신했다.

수출 2위 품목인 자동차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따른 대미 수출 감소에도 유럽연합(EU), 독립국가연합(CIS) 등 미국 외 지역으로 수출이 확대되며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섰다.

다만, 철강 수출은 수요 산업 업황 둔화와 미국의 품목 관세 인상(25%50%) 등 영향으로,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은 유가 하락과 글로벌 수요 둔화로 각각 수출 감소세가 지속됐다.

산업부는 9월도 20일까지 누적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13.5% 증가하고, 반도체, 자동차, 바이오헬스 등 주요 품목이 호조세를 보여 4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미 관세 등 불확실한 수출 여건에도 누적 수출이 플러스를 기록한 데에는 우리 기업들이 쌓아온 제품 경쟁력과 시장 다변화 노력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산업부는 4분기에도 수출 동력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 3일 발표한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 대책을 바탕으로 총력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