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11(현지시간) 현대차-LG엔솔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이 탑승한 전세기가 1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사진 = 뉴시스
사진 = 뉴시스

이날 오후 323분쯤 구금된 근로자들을 태운 대한항공 전세기 KE9036편이 인천공항에 착륙했다. 해당 전세기는 지난 11(현지시간) 오전 1138분쯤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출발했다.

전세기에는 이민당국의 구금 해제 후 자진출국을 택한 한국인 316, 외국인 14(일본 3, 중국 10, 인도네시아 1) 등 총 330명이 탑승한 상태다.

지난 9일 애틀랜타로 급파됐던 박윤주 외교부 1차관도 같은 비행편에 탑승해 입국했다. 박 차관은 애틀랜타 현지에서 현장대책반과 본부에서 파견한 신속대응팀 등의 현장 대응과 실무 교섭 등을 지휘했다.

지난 8일 워싱턴DC로 출국한 조현 외교부 장관도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 앤드류 베이커 백악관 국가안보부보좌관 등과 회동을 통해 구금 사태를 매듭짓고, 12일 오후 530분께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다.

박경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에서 "미국 이민 당국의 단속으로 체포·구금됐던 우리 국민 316분이 무사히 귀국했다. 이는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신속하게 대응한 정부와 외교부, 주미대사관의 노력 덕분"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일을 계기로 정부는 재외국민 보호 시스템을 철저히 점검하고, 유사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더욱 튼튼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논의 중인 전문인력 비자 신설이나 기존 비자의 탄력적 운영을 위한 워킹그룹이 조속히 가동돼 우리 국민이 불법체류의 위험 없이 미국에서 능력을 발휘할 기회가 넓어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4일 미 이민당국은 조지아주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근무 중이던 한국인들을 불시 단속해 체포하고, 포크스턴 구금시설 등에 구금했다.

이들은 한미 정부간 협의를 거쳐 11일 새벽에 전원 풀려났다. 한국인 근로자 317명 중 잔류를 희망한 1명을 제외한 316명은 버스 8대를 나눠 타고 같은 날 오전 830분께 애틀랜타 공항에 도착했다. 이후 우리 기업이 마련한 전세기를 타고 구금 7일 만에 귀국길에 올랐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