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휴대전화 전자파가 엘리베이터 등 밀폐된 장소에서 강도가 평균 5~7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11년 9월부터 1년간 국내에 시판 중인 3G, 4G 스마트폰 7종을 대상으로 사용 환경에 따른 전자파 발생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
‘대기’ 중일 때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0.03~0.14V/m였고 ‘통화 연결’ 중일 때 0.11~0.27V/m, ‘통화’ 중일 때는 0.08~0.24V/m로 나타났다.
지하철 등 빠른 속도로 이동 중인 상황에서 통화할 경우는 0.10~1.06V/m로 나타나 정지 상태(0.05~0.16V/m)보다 평균 5배 가량 강도가 증가했다.
엘리베이터 등 밀폐된 공간의 경우 0.15~5.01V/m로 개방된 공간(0.08~0.86V/m)보다 7배 가량 높았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11년 5월 휴대전화 등 무선통신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발암유발가능물질(2B 등급)로 분류했다.
연구소는 또 매일 30분 이상 장기간(10년 이상) 휴대전화를 사용한 사람은 뇌종양, 귀에 발생하는 암의 일종인 청신경증 발생 가능성이 일반인에 비해 40%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면역체계가 약한 어린이는 전자파 노출에 각별히 주의해야 함은 물론이다.
스마트폰 사용이 보편화된 상황에서 전자파를 피하기 위해 사용을 끊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환경과학원은 생활 속에서 전자파 노출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면 이번 조사 결과에서 확인된대로 전화를 걸 때 상대방이 전화를 받기 전까지 휴대전화를 귀에서 멀리하라고 조언했다.
빠른 속도로 이동 중일 때, 엘리베이터 등 밀폐된 장소에서는 가급적 무선통신기기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수면 중에는 휴대전화 등을 멀리 떨어뜨려 두고 장시간 통화 시 양쪽 귀를 번갈아가며 통화하면 전자파 노출을 줄일 수 있다.
최준영 기자
nik4@abckr.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