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한국과 미국의 무역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됐다.

미국 상호관세가 25%에서 15%로 인하되는 내용의 한미 관세 협상에 합의했다.

사진 = 뉴시스
사진 = 뉴시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30일 오후 5(현지 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 끝에 한미간 관세협상을 타결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새 정부 출범 이후 산업부를 주축으로 기획재정부, 외교부, 농림축산식품부, 국무조정실 등이 상호관세 유예시한인 다음 달 1일을 앞두고 관세 인하를 목표로 협상에 임해왔다.

미국은 우리나라에 대해 다음 달 1일부터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232조 관세도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는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협력 펀드를 조성해 미국 조선소 인수·확장, 선박 건조, 유지보수(MRO), 조선 기자재 등 우리 기업 수요에 기반한 구체적인 프로젝트에 투자한다.

여기에 총 2000억 달러 규모의 대미투자펀드도 조성한다. 반도체, 원자력, 배터리, 바이오, 핵심광물 등 경제안보와 관련된 전략산업 분야에 투자·대출·대출보증을 제공할 방침이다.

정부 협상단은 미국산 자동차 안전기준과의 동등성을 인정하는 등 미국 무역장벽보고서(NTE) 상에 제시된 비관세장벽 일부를 완화해 나간다.

향후 4년간 미국산 에너지를 1000억 달러 구매함으로써 양국은 무역구조를 보다 확대균형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또한, 미국산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 등 미국과의 무역에 시장을 전면 개방하기로 합의했다. 자동차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도 25%에서 15%로 인하된다.

구윤철 부총리는 "우리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한 축인 수출이 다소 숨통이 트이게 됐다""우리 기업들이 주요국 대비 동등하거나 우월한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큰 성과"라고 강조했다.

김정관 장관은 "큰 틀에서의 합의는 마쳤지만 추후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끝까지 국익에 기반해 우리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번 타결로 대미 수출의 불확실성은 어느 정도 해소됐지만, 글로벌 통상환경의 구조적 변화는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 바,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로써 이틀에 걸친 협상에서 양측간 이견을 좁히며 트럼프 대통령 책상에 올릴 최종안을 도출하면서 시한을 하루 앞두고 전격 합의를 도출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