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예타2년째…사업성 검토 마무리 단계,결과 발표만 남아
인천·경기·김포와 공동 대응,“타 사업에 밀려선 안 돼”우려 표명...철도망 확충·자족도시 기반 마련 위한 핵심 노선…조속 추진 절실
[뉴스엔뷰 인천]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을 향해 인천2호선고양 연장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를 조속히 확정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현재KDI에서 진행 중인 인천2호선 고양 연장사업 예비타당성조사는 2023년8월착수 이후2년째 진행중이다. 올해1월 1차 점검회의를 마치고 과업 대부분이 마무리된 가운데 2차 점검회의 및 기재부 재정사업평가분과위원회 심의만을 앞두고 있는 상태로시는 조속히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사업은 인천 독정역~김포시~고양시까지 연결하는 총 연장19.6km의 광역철도사업으로,이 중 약8.3km가 고양시 구간이다. 시는 2029년 착공, 2035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수도권 서북부 권역 내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인 서울지하철5호선 연장, 서부권광역급행철도 사업보다 결과 발표가 늦어질 경우, 인천2호선 고양 연장사업이 상대적으로 교통수요와 사업 타당성 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고양시 관계자는“해당 사업은 수도권 서북부의 철도교통망을 연결하고,킨텍스·장항지구·중산지구 등 대규모 개발사업과 경제자유구역,일산테크노밸리,고양영상밸리, K-컬처밸리와 연계되는 핵심 인프라”라며“단순한 교통망확충을 넘어, 미래 산업 기반 조성과 자족도시 실현을 위한 중추적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인천2호선 고양 연장사업은 2021년7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된이후, 2023년7월 기재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됐다. 예타 통과시, 기본계획 수립,설계 등 후속 행정절차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인천2호선 고양연장 사업은 수도권 서북부 균형발전과고양시의 자족도시로 전환을 위한 필수조건”이라며, “기재부와 국토부,경기도는 물론 인천·김포 등 인접 지자체와도 적극 협력해 반드시 예타가 통과될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