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고발·의원 제명 등 갈수록 사회적 문제의식 확산

[뉴스엔뷰]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지난 30일 열린 3차 TV토론에서 여성의 신체에 대한 부적절한 발언으로 비판 여론에 휩싸인 가운데, 논란 이후 뒤늦게 사과했지만 사태는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 다수의 시민단체들이 이 후보를 고발하고 있으며, 국회 차원에서는 국회의원직 제명까지 거론되고 있다.

한국대학생진보연합 회원들이 지난 29일 서울 여의도 개혁신당 당사가 위치한 건물 앞에서 열린 '대국민 언어 성폭력한 이준석 대선 후보 사퇴 촉구 대학생 긴급 기자회견'에서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국대학생진보연합 회원들이 지난 29일 서울 여의도 개혁신당 당사가 위치한 건물 앞에서 열린 '대국민 언어 성폭력한 이준석 대선 후보 사퇴 촉구 대학생 긴급 기자회견'에서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당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표현의 수위로 인해 상처받으신 모든 분들께 깊이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지만, 동시에 자신에 대한 제명 시도와 고발 움직임에 대해서는 “정치적 보복”이라고 주장해 여론의 비판을 사고 있다.

이준석 후보는 “모든 책임은 저에게 있다”며 “그 어떤 변명도 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이후 메시지에서는 민주당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자신을 향한 대응을 기득권 정치의 반발로 해석했다. 그는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빨강과 파랑이 손을 맞잡고 있다”며 “이준석이라는 싹을 지금 밟아야 자신들이 편하다고 믿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후보의 사과와 정치적 반발은 논란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특히 시민사회에서는 그의 발언을 성차별적이며 공직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는 것으로 보고, 다수의 여성·인권단체와 시민단체들이 고발에 나섰다. 실제로 여성단체연합, 민변 등 여러 단체가 잇달아 이 후보를 검찰과 선관위에 고발하면서 법적 책임을 묻고 있다.

국회 내에서도 후폭풍이 거세다.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이 후보의 발언이 국회의원으로서의 품위 유지 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보고, 윤리위원회 제소는 물론 의원직 제명까지 논의되고 있다. 이는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의 자격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서는 이 후보가 사과와 동시에 “정치보복”이라는 프레임으로 사안을 호도하려 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사과의 진정성을 의심케 하는 발언과 태도가 오히려 국민적 반감을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대선후보로서 공적인 자리에서의 언행은 무게감이 있어야 하고, 그 책임은 막중하다”며 “단순한 말실수로 보기엔 표현의 성격이 너무 부적절하고, 이후의 대응에서도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 여론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이준석 후보는 개혁신당의 대표로 양당 정치 해체와 기득권 타파를 외치고 있지만, 정작 자신이 그 기치를 무색하게 만드는 언행으로 당의 정치적 신뢰를 흔들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사과만으로 상황을 모면하기 어려운 만큼, 이 후보와 개혁신당 모두에게 이번 사태는 중대한 시험대가 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