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경기 침체기 생계형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방범용 폐쇄회로(CCTV) 등 보안 솔루션이 도난 범죄 예방에 유의미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에스원의 범죄예방연구소는 지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고객 데이터를 분석한 '도난 범죄 동향'을 지난 18일 발표했다. 분석 결과 최근 3년 사이 도난 범죄 건수는 약 33% 감소했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현금을 노린 생계형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분석된 건의 38.4%가 범행을 도중에 포기한 '미수'였기 때문에, 설루션의 범죄자 압박 효과가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분석 사례의 81.8%는 피해 금액 100만 원 미만의 소액 절도였다. 절도 대상의 79.8%는 현금이었고, 담배·식료품 등도 주요 표적이 됐다.
에스원의 CCTV 설치 고객 수도 2022년부터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이며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CCTV 상품인 SVMS의 경우 지난해 기준 판매가 279% 증가했다.
SVMS는 탑재된 AI가 침입·난동·배회 등 이상 상황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한다.
공공부문에서도 CCTV 설치가 활발하게 이뤄져, 지난해 기준 전국적으로 176만 대 이상의 CCTV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0년 전보다 약 120만 대 증가한 수치다. 현금 도난 사건의 72.9%는 심야 시간대에 발생했다.
무인점포 도난범죄의 81.8%는 인적이 드문 밤 12시부터 오전 6시 사이 발생했다.
에스원은 범죄 피해 발생 시 일정 금액을 보상하는 '도난 보상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에스원 관계자는 "소액 절도는 증거 확보가 어렵고 보상 절차가 복잡해 피해자가 실질적으로 보상받기 어렵다"며 "일부 자영업자들은 CCTV 캡처 화면을 매장에 부착하거나, 자비로 경고 문구를 게시하는 등 자구책에 의존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