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자 75명, 이재민 3171명
경북 시설 피해 6336곳, 국가유산피해 30건

[뉴스엔뷰] 경남 산청 산불의 주불이 진화되면서 전국에서 발생한 중대형 산불 11곳이 모두 진화됐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 28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를 찾아 산불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 28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를 찾아 산불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번 산불로 시설 6452곳이 불에 타고 75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31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산불로 인한 인명 피해는 사망 30명, 중상 9명, 경상 36명 등 75명이다. 경북이 6336곳으로 피해가 가장 많았고 경남 84곳, 울산 30곳, 무주 2곳 순으로 나타났다. 천연기념물, 국가민속문화유산 등 국가유산 피해는 총 30건으로 파악됐다. 

전날 산불영향구역은 축구장 6만7561개 면적에 달하는 4만8238.61㏊에 달한다. 

국가유산 피해는 국가가 지정한 11, ·도가 지정한 19건 등 총 30건으로 조사됐다.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이재민은 3799세대 6323명이다.

고 직무대행은 "산불 피해 현장은 생각보다 훨씬 참담하며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의 상실감과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는 이재민들이 안정을 찾고 조속히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공기관 연수원과 민간 숙박시설을 임시 숙박시설로 활용하고 생업에 가까운 지역 내 임시 조립주택을 설치하는 등 실질적이고 안정적인 주거 시설을 지원하겠다""피해가 확인된 이재민들께는 긴급생활안정지원금을 신속히 지원하고 심리지원과 의료지원도 지속적으로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범정부 합동 복구대책지원본부'를 운영해 응급 복구와 피해조사, 체계적인 복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정부가 피해 복구에 행정력을 총동원할 수 있도록 각 기관에서는 인력 파견 등 행정응원 요청에 대해 최우선으로 검토해 적극 지원해 달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과 같은 산불은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어 예방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위험지역은 수시로 현장을 점검하고 진화 인력과 장비는 선제적으로 배치해 초기 대응을 철저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감시를 촘촘히 하고 지역 주민들과 함께 자율 순찰도 강화하고 있다""빠르게 확산하는 산불 경향을 반영해 주민 사전 대피 계획을 세밀하게 수립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