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성지이자 노벨문학상의 도시인 광주가 최적지”
[뉴스엔뷰] 최근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으로 도서·출판계에 모처럼 활기가 넘치고 있는 가운데, 광주광역시 국회의원 8인(정진욱, 안도걸, 조인철, 양부남, 정준호, 전진숙, 박균택, 민형배 의원)은 지난 3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회도서관 호남분관 왜 광주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공동개최했다.
발제자로 나선 경희대 공공대학원 박노수 교수는 “국회도서관은 단순한 자료 저장소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 허브와 지식공유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지역거점에 분관을 설치해 국가 지식정보 역량을 확충하고 지역 입법활동을 지원하는 등 시대적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토론에 나선 건국대 문헌정보학과 노우진 교수는 “해외 사례를 볼 때 국립도서관의 분관은 자료 보존, 지역균형개발 및 지식정보 격차해소, 연구조사 기능 등 세 가지 형태가 있다”며 “국회광주도서관은 책, 전시, 공연 등을 함께 하는 복합문화공간을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토연구원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 박경현 센터장은 “갈수록 수도권 집중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국회광주도서관은 다핵형 국토구조를 만드는 시발점이 될 수 있다”며 “국토 전체 균형발전 측면에서 국회광주도서관 설립의 타당성을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토론회를 주관한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은 “국회 세종의사당과 부산 국회도서관에 이어 이제는 노벨문학상의 도시 광주에 국회도서관 분원을 유치할 차례”라며 “오늘 토론회를 통해 광주에 국회도서관을 어떻게 설립할지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광주 출신 8명의 국회의원이 원팀으로 힘을 모아 시민의 염원인 국회광주도서관 건립을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