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사 선정과정에서 수행기업의 재무건정성 평가 미비
김성환 의원, “선조치 구상권 청구 등 적극적이고 선제적 조치 필요”
티몬·위메프 등 큐텐계열사, 피해규모 더 커질듯

[뉴스엔뷰] 더불어민주당 김성환 국회의원(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서울 노원을)은 30일 진행된 중소벤처기업부 및 산하기관 업무보고에서 “이른바 티메프 사태의 여파가 점점 커져가고 있는 상황에서, 중기부 산하 중소기업유통센터를 통해 3,678개의 업체가 큐텐계열사에 입점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언급하며, 중소기업유통센터의 온라인판로지원사업 수행사 선정과정에서 재무건전성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구영배 큐텐 대표, 류광진 티몬 대표, 류화현 위메프 대표 등이 국회 정무위원회 현안질의에 출석한 30일 오후 국회 앞에서 ‘티몬, 위메프 사태’ 관련 피해자가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구영배 큐텐 대표, 류광진 티몬 대표, 류화현 위메프 대표 등이 국회 정무위원회 현안질의에 출석한 30일 오후 국회 앞에서 ‘티몬, 위메프 사태’ 관련 피해자가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성환 의원실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티몬, 위메프 등 큐텐계열사 6곳의 온라인상거래업체에 모두 678 개가 중소기업유통센터를 통해 입점했으며 6월 말 기준 23개사가 업체당 평균 2억원인 46억원의 미정산금액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이 수치는 현재까지 중소기업유통센터로 접수된 피해현황에 불과하며, 6월 이후 판매대금에 대한 정산기일이 도래할 경우 그 규모는 더 커질것으로 보인다. 

한편 김성환 의원은 중소기업유통센터가 온라인판로지원사업의 수행사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수행업체들의 재무건전성이 제대로 평가되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다트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확인한 티몬, 위메프 2개사의 감사보고서에 의하면, 두 기업의 유동성 문제는 이미 심각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왜 심사과정에서 이런 업체가 제대로 걸러지지 않았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온라인 판매 지원을 위한 중소기업유통센터의 사업취지에는 공감하나 , 이번 위메프 사태와 같은 선의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행사 선정시 보다 면밀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수행사와 위수탁 계약사항 등을 확인하여 선지원 후 구상권청구 및 손해배상 청구 등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조치방안을 검토하고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