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 ‘국가 예산 5% 이상 투입’ 법제화
황정아 의원, "대통령 말 한 마디에 국가 미래 근간 흔들려선 안돼"
[뉴스엔뷰] 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계 영입인재인 황정아 의원은 지난 30일 국회 소통관에서 ‘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 대표발의 기자회견을 갖고, 윤석열 정부에 R&D 시스템 복원과 R&D 추경 수용을 촉구했다.
황정아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 말 한 마디에 국가 R&D 예산이 수 조원 삭감 되고 연구 현장은 쑥대밭이 됐다”며, “대통령과 정부가 막무가내 떼쓰기식 정책을 바꿀 생각이 없다면 국회에서 입법으로 바꿔야 한다”고 제1호 법안인 ‘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의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 따르면 ‘21년부터 ‘23년까지 국가 총 예산 대비 R&D 예산 비중은 4.9% 수준이었다. 또한 보수 정부인 박근혜 정부 시절에도 R&D 예산 비중이 5.0% 이상을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과학기술계에 대해 ‘카르텔’이라 발언한 이후, 33년 만에 R&D 예산 삭감이 이뤄지면서 R&D 예산 비중은 올해 정부안 기준 3.9%까지 급전직하했다.
이로 인해 현장에서는 근거 없는 R&D 예산 일괄 삭감으로 인해 과학기술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다는 비판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황정아 의원이 대표발의한 ‘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은 ‘R&D 국가예산목표제’ 법제화를 위한 '국가재정법 일부개정법률안'과 R&D 예산 관련 국회의 견제권 강화를 위한 '과학기술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 ,과학기술부총리제 신설을 위한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으로 구성됐다.
이어 황 의원은 “총선이 끝난 지 한 달이 넘었는데도, 바뀌는 것이 없다, 윤석열 대통령은 R&D 예산 삭감에 대한 사과는커녕, 더불어민주당이 제안한 ‘R&D 추경’마저 단칼에 거부했다”면서 “대통령과 정부가 막무가내 떼쓰기식 정책을 바꿀 생각이 없다면, 국회에서 입법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여당 역시 국가 미래 먹거리의 근간인 국가 R&D 시스템 재구축 3법에 전향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며, 이어 “무너져가는 과학기술계를 살릴 ‘R&D 추경’도 수용하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피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