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지갑 Line Pay의 보안성 문제 제기
[뉴스엔뷰] 일본 국민 중 8천만 명 정도가 사용하는 SNS 라인야후가 한국 네이버에 대해 개인정보 유출에 이유를 들어 "대주주인 네이버와의 위탁관계를 순차적으로 종료해 기술적인 협력 관계에서의 독립을 추진하겠다"면서 자사 지분을 매각하라는 요구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번 사건의 발단은 2023년 11월, 라인야후의 고객 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해 무려 데이터 유출 사건으로 인해 약 40만 명의 사용자 정보가 유출되었고 유출된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생년월일 등의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일본 국민 전체 사용자의 약 5%에 해당하는 수치에 지나지 않는다.
일본 정부는 이 사건으로 라인 앱의 보안을 문제 삼았으며 특히 디지털 지갑 기능인 Line Pay의 보안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명분을 삼고 있다.
이러한 시도가 현실화 할 경우 네이버는 13년간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 시장의 거대 메신저 기업을 잃을 수 있어 우리 국민이 분노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국민 메신저 '라인야후'가 네이버에 지분 매각을 요구하는 데 대해 우리 정부가 오히려 방관을 넘어 적극 협력하고 대변하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사태 등에서 보였던 친일적 행태를 반복하고 있다.
국내 기업이 일본 당국의 압박에 따른 라인야후 지분 협상이 IT기업의 해외 자회사 헐값 매각과 강제 퇴출이라는 선례를 남길 수 있는 만큼, 네이버가 중장기, 글로벌 전략에 맞춰 대등하게 협상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라인은 주로 메시징 및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로 잘 알려져 있으며, 야후 재팬은 검색 엔진 및 인터넷 포털 서비스로 인기가 높다.
우리나라에서의 라인의 지위보다는 카카오톡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라인에 대한 메신저 영향력이 크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일본 내에서 LINE은 인구의 약 88%가 사용하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앱 중 하나로 절대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다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특히 NAVER의 LINE 앱은 동남아로만 가도 라인 메신저로 주로 아시아에서 강세를 보이며 특히 일본,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에서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LINE은 일본과 동남아시아에서 1억 65만 명의 월간 활성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1억 82만 명의 사용자가 있다.
이러한 수치는 LINE이 아시아 지역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라인(LINE)과 야후 재팬(Yahoo Japan)의 합병은 2021년 3월에 완료, 이 합병을 통해 두 회사는 A홀딩스라는 새로운 기업으로 재탄생했다.
두 회사의 합병을 통해, 더 많은 커뮤니케이션 도구, 금융 서비스, 쇼핑 및 광고 솔루션 등을 통합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이 합병은 일본 내에서 디지털 플랫폼과 인터넷 서비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합병의 주요 동기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사용자 기반을 확대하고, 더 많은 디지털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합병을 통해 네이버(NAVER)와 소프트뱅크(SoftBank)는 'A 홀딩스'라는 회사를 공동으로 설립 이 회사를 통해 각각 50%씩 지분을 소유 'A홀딩스'가 대주주로, 지분율로 따지면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의 약 33%를 소유한 상황이다.
라인야후는 라인 개발을 맡아 성공시킨 유일한 한국의 신중호 최고 상품책임자(CPO)를 사내이사에서 배제하면서 네이버의 영향력을 지우고 있다. 이사회 의장도 소프트뱅크에서 맡으며, 이사회 5명 중 3명을 소프트뱅크가 지명하여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