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기후동행카드, 준공영제 시행…시민부담 낮추고 서비스 질은 더 높게
[뉴스엔뷰 고양] 고양특례시는 대중교통비 부담을 낮추고 접근성과 편리성을 높여 시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수요자 중심 대중교통 정책을 실시한다. K-패스·기후동행카드 도입, 준공영제, 고양똑버스 노선 확대, 친환경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시민들이 교통허브도시로서 편익을 최대한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내달1일부터는 국토교통부와 함께 대중교통비를 최대53%환급해주는K-패스 운영을 시작한다.총사업비는 국비50%,도비15%,시비35%로 분담하며 시는 올해18억을 지원할 예정이다.기존 만13세부터 지원하던 청소년 교통비도5월부터 어린이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만6세 이상까지 대상연령을 확대한다.
무제한 대중교통 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도 지난3월 서울특별시와 업무협약을 맺어 올해 중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적용범위는 고양시를 경유하는 서울 시내버스30개 노선을 포함해지하철3호선(대화~삼송),경의중앙선(탄현~한국항공대),서해선(일산~능곡)등 총26개 역사다.
시내·마을버스도 상반기 경기도 공공버스 2개 노선시내버스 공공관리제 4개 노선이 준공영제 운영을 시작한다. 효율적인 준공영제 운영을 위해 손익분석과 노선개편 등을 담은 ‘고양시 버스 준공영제 실행방안 수립 용역’도 진행 중이다. 시는 2027년까지 준공영제를 전면 시행해 우수한 버스운전자를 확보하고 시민들의 이동권을 강화할 방침이다.
시는 교통 취약지역 주민들의 이동 편의성 향상을 위해 운행 중인 고양똑버스를 덕은·향동지구까지 확대하고 입주를 시작한 장항지구에도 버스노선 개편을 추진한다. 고양똑버스는 고정노선 없이 앱으로 호출해 이용하는 교통수단으로 현재 식사동, 고봉동 지역에서 운행하고 있다. 특히 식사동은 출·퇴근 시간 편의성을 위해 경기도 최초로 현장결제를 도입하고 고정노선형을 병행 운행하고 있다.
고양시는 미세먼지 없는 친환경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전기·수소버스 도입과 충전소 설치를 늘리고 있다.대화버스공영차고지에는 전기충전소10기 설치를 진행 중이고 올해 말까지 수소충전소4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2026년 준공 예정인 원당버스공영차고지에는 전기충전기70기와 수소충전기4기를 설치해 모든 버스를 전기·수소버스로 운영할 계획이다.
대화역과 일산서구청,킨텍스 등으로 이어지는 대화역 버스정류소에는 교통 수요 해소를 위해7월까지 대화중앙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한다.버스도착 안내,공기정화기,에어컨,공공 와이파이 등 생활편의시설 제공으로 시민 선호가 높은 스마트쉘터도LH와 협의해 기존15개소에서30개소로 늘릴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