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의원, “지금이라도 트라우마로 어려운 삶에 놓인 생존자들을 구조해야”

[뉴스엔뷰] 윤미향 의원(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은 지난 22일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장에서 세월호참사 일반인 생존자 김동수 씨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사진 /  윤미향 의원실
사진 / 윤미향 의원실

4.16 세월호참사 10주기를 맞은 가운데, 세월호 파란바지의 의인, 마지막 순간까지 학생들을 구하기 위해 애썼던 김동수 씨를 비롯한 제주 세월호 일반인 생존자 24명(이하 생존자들)은 참사 이후 10년이 흘렀지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어려운 삶을 이어나가고 있다.

생존자들은 2015년 3월 29일 세월호피해지원법 시행으로 배·보상의 길이 열렸지만, 당시 배·보상 신청기한(법시행 6개월) 내 생존자들의 후유장애를 제대로 진단하는 것은 불가능하였기에, 제대로 된 배·보상을 위해 2021년 12월 해양수산부에 직권재심의 검토를 요청하였다.

2015년 당시 제주대학교병원, 제주한라병원, 고대안산병원, 연대세브란스병원 등에서 발급한 후유장애진단서에 따르면, △정확한 치료 경과 및 예후를 판단하기 어려움, △추후 재평가를 통하여 치료 지속 여부를 결정해야 함, △외상 후 최소 2년 이상이 경과한 후에 판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현 시점은 외상 후 1년 2개월이 지난 시점으로 적절하지 못함을 고려해야 함 등의 진단을 하였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변상철 공익법률지원센터 파이팅챈스 소장이 참석하여 관련 경과를 설명하고, 최정규 법무법인 원곡 변호사가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국회 기자회견에 직접 참석한 세월호참사 일반인 생존자 김동수 씨는 “약이 없으면 며칠씩 잠을 못잔다” 10년 동안 겪고 있는 트라우마 고통을 호소했다. 

윤미향 의원은 “해양수산부는 조속히 배보상심의위 안건으로 상정하여 생존자들에 대한 직권재심의를 진행하여, 아직도 트라우마 피해로 어려운 삶에 놓인 생존자들을 구조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