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 효과
응답자 4%, 승용차 대신 월 20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뉴스엔뷰] 서울시는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가 시행된 이후 지난 45일 누적 판매 100만 장을 돌파한 가운데 이용자의 4%가 평소 이용하던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탑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뉴시스
사진 = 뉴시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8~11일 기후동행카드 이용자 28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용자의 4%가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월 20회 이상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설문조사 응답자 2823명 중 평일 출퇴근길 승용차 상시 이용자는 230(14.5%)이었고, 이중 225(97.8%)은 기후동행카드 구매 후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중 127(4%)'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월 20회 이상 이용했다'고 답했다. 기후동행카드 평일 사용자가 평균 50만명인 점을 감안할 때 4%에 해당하는 약 2만 명이 월 20회 이상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한 것으로 추측했다.

이를 토대로 승용차 1대에서 발생하는 연간 온실가스 발생량이 1.96t인 점을 감안하면 기후동행카드 출시 두 달 만에 약 3600t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셈이다.

기후동행카드는 무제한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으로 서울지역 내 지하철, 심야버스를 포함한 서울시내·마을버스와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월 6만원대에 무제한으로 탑승할 수 있다. 지난 127일 서비스를 시작한 지 약 2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이 100만장을 돌파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자는 1인당 월평균 약 3만원의 교통비를 절감한 것으로도 조사됐다. 연령대별로는 2029000, 3027000, 4028000, 5031000, 60350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26일부터 만 19~34세 청년은 월 7000원의 추가 할인을 적용받아 3월 이후 절감 효과는 더 클 것으로 분석됐다.

또 구매 연령대는 2029%, 3028%, 4015%, 5018%, 609%로 출퇴근이 많은 20~30대 이용자가 많았다. 하루 평균 이용횟수는 3.4회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