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반월시화산업단지에서 민간 및 금융투자자, 산단 전문가, 근로자 등이 참여한 '산업단지 관리제도 혁신방안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 = 뉴시스
사진 = 뉴시스

이번 간담회는 산업부가 올해 업무보고 시 제시한 '실물경제 활력 회복과 역동적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는 민간수요 중심의 산업단지 관리 방안에 대해 민간투자자와 기업인 등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민간중심의 역동적 경제' 구축을 목표로 산단·공장 관련 제도를 기업 친화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산단 관리제도 혁신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현장의견을 수렴하고 보완을 통해 산업계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혁신 방안 추진동력 및 이행력을 확보했다.

작년 말 전국 산업단지는 1,274개로 12만개 기업이 입주하여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62.5%, 수출의 59.6%, 고용의 48.3%를 담당하고 있다.

착공 후 20년이 경과한 산업단지가 증가하면서 생산시설 노후화와 근로환경 악화, 기술과 지식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산업으로의 업종 전환이 쉽지 않아 일하기를 주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참석자들은 산업단지 인프라와 정주여건 악화 등의 원인이 20년 이상 지났어도 거의 변화하지 않은 입주업종, 토지용도 등 경직된 제도 운영을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새로운 산업과 창업기업이 원활히 입주할 수 있는 공간과 근로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복지·편의시설을 산단 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제조업 공장 중심 입지규제를 대폭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노후 산단에 대한 종합적·체계적 발전전략을 마련해 기업과 투자자들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산단 개발을 위한 정부지원사업 전반을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해 민간투자 유인을 개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장영진 1차관은 "일하기 좋은 기업이 많아지고 생활하기 편리한 환경이 만들어져야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얻을 수 있고 기업들은 인력난을 해소할 수 있다"면서 "입지규제를 대폭 개선하고 근로자들이 원하는 복지·문화·편의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민간투자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