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윤석열 정부가 여성가족부를 폐지하는 정부조직법 개편안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전국민조노동조합총연맹이 “후보 시절부터 지지율이 떨어질 때마다 여성 인권을 볼모로 삼더니 기어코 국가권력이 나서 성평등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뉴스엔뷰] 지난 6일, 윤석열 정부가 여성가족부를 폐지하는 정부조직법 개편안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전국민조노동조합총연맹이 “후보 시절부터 지지율이 떨어질 때마다 여성 인권을 볼모로 삼더니 기어코 국가권력이 나서 성평등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지난 17일 성명을 통해 “민주노총은 출범 이래 한국 사회에서 약자가 겪는 불합리한 차별과 대우에 맞서 계속 투쟁해왔다. 그러나 정작 정부는 여성·장애인·성소수자·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면서 “윤석열 정부는 모든 국민이 평등하고 안전한 나라에서 살아갈 권리를 최선을 다해 박탈하며 국가의 시곗바늘을 거꾸로 돌리고 있다. 그러나 평등 사회를 향한 노동자, 시민들의 열망은 오히려 뜨겁게 타오르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노동 현장에서 누구도 차별과 혐오로 고통받지 않고 존재 그대로 존중받으며 일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민주노총은 구체적인 평등수칙을 발표하는 바”라고도 말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평등수칙을 제정, ▲노동해방을 위해 함께 투쟁하는 민주노총의 동지로서, 상호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 낼 것이다. 서로를 다양한 가치를 지닌 동등한 주체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평등한 관계로 나아가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만들 것 ▲성 역할에 근거한 업무 배분을 하지 않고, 권위주의적 발언을 하지 않는 등 일상 속 점검과 실천으로 평등한 조직문화를 만들어나갈 것 ▲우리는 어느 누구도 완벽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불편한 문제 제기라도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서라는 믿음으로 대할 것 ▲우리는 다양한 정체성을 갖고 있음을 인지하고 다름을 존중하며 누구나 동등하게 활동할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 것이다. 국적·인종·나이·성적 정체성 등 다양성을 존중하고, 장애 유형·식이 제한 등의 조건으로 참여가 배제되지 않게 할 것 등에 대한 내용을 발표했다.
이들은 “불평등 세상을 갈아엎고 평등하고 안전한 세상으로 바꾸자는 외침을 민주노총 조직 전체에 적용시키고, 113만 조합원이 가진 다양한 정체성과 삶의 방식을 존중하며 누구도 배제되지 않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겠다는 실천의 약속”이라면서 “113만 조합원은 노동조합 활동에서 평등수칙을 이행함으로 차별을 정당화하고 불평등을 당연시하는 사회를 바꿔나가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