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가 미얀마 군부의 ‘로힝야족 집단학살 5주기’인 지난 25일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진상규명과 책임자를 처벌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뉴스엔뷰] 시민사회단체가 미얀마 군부의 ‘로힝야족 집단학살 5주기’인 지난 25일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진상규명과 책임자를 처벌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국제민주연대·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국제연대위원회·사단법인 아디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미얀마 정부는 수 만명의 사람들을 죽이고, 가옥을 불태웠으며 성폭행을 저질렀다. 유엔난민기구(UNHCR) 추산 약 80만 명이 넘는 난민이 충격과 공포속에 인접국인 방글라데시로 피난했고, 현재 약 100만 명의 로힝야들이 열악한 난민캠프에서 힘든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엔은 반인도적 범죄, 제노사이드라고 규정했지만 미얀마 정부는 책임을 부정했고, 이 끔찍한 범죄는 해결되지 않은 채 국제 사회의 관심에서 점차 멀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코로나19와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및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그리고 심화되는 기후위기 속에서 로힝야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것”이라면서 “실제로 방글라데시 난민캠프만 보더라도 로힝야인들이 처한 인도적 위기는 모든 면에서 악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민사회단체는 “집단학살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요원한 가운데 군부는 쿠데타 이후 로힝야 뿐만 아니라 미얀마에 거주하는 모든 시민들에 대한 반인도적 범죄를 계속해서 저지르고 있다”면서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무고한 시민들을 학살하고, 체포와 구금을 계속하고 있다. 또한 민주 인사에 대한 사형을 집행하면서까지 그 잔혹성을 드러내며 폭주하고 있다. 우리는 미얀마 군부를 규탄하며 이제라도 로힝야 학살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책임자를 처벌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정부를 포함하여 국제사회가 미얀마 군부에 책임을 묻고,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로힝야 사태도, 작금의 미얀마 사태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어렵다. 특히 고통속에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는 로힝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이미 극한 상황에 몰려있는 로힝야 공동체는 최악의 상황에 처하게 될지도 모른다”면서 “한국의 시민사회는 집단 학살의 피해자인 로힝야가 처한 구조적인 위기에 대하여 지금이라도 UN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로힝야 집단학살의 책임을 묻기 위해서라도 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대항하는 봄의 혁명은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 더불어, 군부뿐만 아니라 미얀마 사회 전체가 로힝야에 대한 차별과 박해에 대해 성찰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한다”면서 “실제로 군부 쿠데타 이후 일부 미얀마 시민들이 로힝야 학살을 돌아보고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있는 것을 환영한다. 나아가 미얀마 연방과 민주주의의 미래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로힝야의 존엄하고 안전한 귀환과 시민권 부여 등 권리 회복도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