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진입 대응과 국내 미디어산업 발전을 위한 방송콘텐츠 제작비 세제지원 정책 세미나'가 국회에서 열렸다.

[뉴스엔뷰] 지난 26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진입 대응과 국내 미디어산업 발전을 위한 방송콘텐츠 제작비 세제지원 정책 세미나'가 국회에서 열렸다.

지난 26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진입 대응과 국내 미디어산업 발전을 위한 방송콘텐츠 제작비 세제지원 정책 세미나'가 국회에서 열렸다. 사진/ 뉴시스 제공
지난 26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진입 대응과 국내 미디어산업 발전을 위한 방송콘텐츠 제작비 세제지원 정책 세미나'가 국회에서 열렸다. 사진/ 뉴시스 제공

이 자리에서 김용희 오픈루트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율이 주요 선진국 대비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 제작하면 666억원을 돌려받는데, 이를 우리나라 기준에 적용하면 80억원 수준으로 확 줄어든다."고 밝혔다.

이어 김 연구위원은 "해외 대다수 국가들이 콘텐츠산업 육성과 고용창출 등의 경제효과를 높이기 위해 높은 비율의 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현행 제작비 세액공제 비율이 주요 선진국이 비해 낮게 책정돼 파급력이 낮다"고 첨언했다.

세액공제율은 미국(25~35%), 프랑스(30%), 호주(16~40%), 영국(10%)이 우리나라 국내 대기업 공제율(3%)과 10배 정도 차이났다.

그러면서 "한국의 영상콘텐츠 산업을 글로벌 핵심 소프트 파워로 지속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선진국 수준의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국회에서도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와 관련해 6개의 법안이 발의되었다.

키워드

#OTT #세금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