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시중은행들이 시행해 온 각종 대출 규제를 풀고 있지만, 금리가 치솟는 탓에 대출에 여전히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엔뷰] 작년부터 시중은행들이 시행해 온 각종 대출 규제를 풀고 있지만, 금리가 치솟는 탓에 대출에 여전히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부터 시중은행들이 시행해 온 각종 대출 규제를 풀고 있지만, 금리가 치솟는 탓에 대출에 여전히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뉴시스 제공
작년부터 시중은행들이 시행해 온 각종 대출 규제를 풀고 있지만, 금리가 치솟는 탓에 대출에 여전히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뉴시스 제공

지난달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4%에 바싹 다가서며 8년 11개월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물가 상승 등으로 코픽스(COFIX), 은행채와 같은 지표금리가 오른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지난 2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88%로 한 달 전보다 0.03% 포인트 높아졌다. 2013년 3월(연 3.97%) 이후 8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용대출 금리도 같은 기간 0.05% 포인트 올라 연 5.33%로 집계됐다. 2014년 8월(연 5.38%) 이후 7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기록을 세웠다.

전체 가계대출 금리도 연 3.93%로 한 달 전보다 0.02% 포인트 상승했다. 2014년 7월과 같은 수준으로 7년 7개월 만에 최고 금리다.

송재창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코픽스와 은행채 등 장단기 지표금리 상승으로 가계대출 금리가 전반적으로 올랐다"며 "그러나 은행의 가산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일부 은행이 우대금리 등을 복원하면서 지표금리 상승폭보다 실제 금리 상승폭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은행 등 금융기관의 대출태도 완화가 어느 정도까지 진행될지 지켜봐야한다"고 언급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금리 인상 등 긴축 움직임과 물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올해 대출 금리는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는 이날 기준 연 4.00~6.01%로, 이미 상단 금리가 연 6%를 넘어섰다.

예금은행의 예금 금리는 연 1.70%로 같은 기간 0.05% 포인트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의 예대마진은 신규취급액과 잔액 기준 모두 커졌다. 신규 취급액 기준 예대마진은 1.86% 포인트로 1월보다 0.06% 포인트 높아졌다. 잔액 기준 예대마진은 2.27% 포인트로, 2년 8개월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