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코로나19 확산을 사회적 거리두기로 억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향후 방역 정책이 전면 완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뉴스엔뷰]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코로나19 확산을 사회적 거리두기로 억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향후 방역 정책이 전면 완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21일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부 완화되면서 사적 모임이 백신 접종 여부와 상관없이 8명까지 가능해진다. 이로써 사회적 거리두기는 다음달 3일까지 사적 모임 8인, 다중시설 이용 시간 오후 11시까지 제한된다.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가 유입된 지난해 12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적용한 이후 단계적으로 완화했다. 그간 조정안을 논의할 때마다 정 청장은 완화 방안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 21일 브리핑에서 정 청장은 "60대 이상 고령자의 사망을 예방하고, 또 위중증을 줄이는 것은 가장 중요하다"면서도 "이 부분이 거리두기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빠른 전파력 때문에 확진됐을 시점에 이미 많은 노출이 일어났기 때문에 거리두기만으로는 이 유행을 통제하기에는 한계가 상당히 있다"고 언급했다.
정 청장이 사회적 거리두기의 한계를 언급한 배경은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 때문으로 풀이된다. 증상 발현 2일 전부터 강력한 전파력을 보이는 오미크론 변이 특성상, 감염자가 사전에 접촉 차단을 통해 감염을 방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 되면서 제도에 대한 실효성도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정 청장이 비교 대상으로 제시한 홍콩의 경우 모임과 등교 제한 등 감염을 억제하는 거리두기 정책으로 지난해 연말까지만 해도 10명대의 확진자 수를 유지했으나 오미크론이 확산하면서 지난 3일에만 7만6991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대유행을 겪었다.
이 때문에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가 종료하는 다음달 3일 이후에는 방역 정책이 대폭 완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