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열린 대선 후보 4인의 첫 TV토론에 등장한 ‘RE100’에 대한 관심이 쏠렸다. 토론 직후 온라인상에선 RE100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어떻게 읽는지 등 궁금증을 쏟아내는 반응들이 나왔다.
[뉴스엔뷰] 지난 3일 열린 대선 후보 4인의 첫 TV토론에 등장한 ‘RE100’에 대한 관심이 쏠렸다. 토론 직후 온라인상에선 RE100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어떻게 읽는지 등 궁금증을 쏟아내는 반응들이 나왔다.
RE100은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이다. 글로벌 비영리 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이 지난 2014년 뉴욕기후주간을 맞아 시작한 캠페인이다.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2050년까지 풍력이나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것이다. 정부 등에 의한 강제성은 없으며, 글로벌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글로벌 기업들은 RE100 가입에 앞다퉈 동참하고 있다. 7일 더 클라이밋 그룹 홈페이지에 따르면 초기 2014년에 13개 기업이 회원으로 참여했고, 현재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스타벅스 등 349개 글로벌 기업이 RE100에 가입한 상태이다.
협력 업체에서도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애플은 2030년까지 공급망을 포함한 모든 생산 과정의 탄소중립을 선언했고, 100개가 넘는 협력사들도 재생에너지 100%를 약속했다.
BMW, 폭스바겐, 테슬라 등 완성차 기업들도 자사 공급 제품생산에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기업들도 재생에너지 전환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한국은 14개 기업이 참여하여 프랑스(14개)와 중국(7개) 등 국가보다 비슷하거나 많지만, 일본(64개), 영국(47개), 독일(16개) 등 국가보다는 적다. 국내 기업들 중 SK, LG, 한국수자원공사(K-water) 등이 RE100에 참여하고 있다.
기업들이 RE100에 참여하게 된 배경에는 미래 기업 실적이 있다. RE100에 참여하는 글로벌 기업이 거래 업체에도 재생에너지를 사용한 제품 생산을 요구할 수 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 특성상, RE100이 새로운 무역장벽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RE100 참여를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지난해 '한국형 RE100(K-RE100)' 제도를 도입했다. 이행수단으로는 △녹색프리미엄제 △제3자 전력구매계약(PPA)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구매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국내 재생에너지 공급 상황은 녹록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2020년 기준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은 전체 에너지 발전량 중 6.6%에 불과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31.6%에 비해 저조한 수준이다.
재생에너지 사용과 관련해 아직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한 점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입지가 좁아 풍력, 태양광 부지 확보에 지역주민 갈등이 유발되고,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은 한국전력 배·송전망을 이용해야 해서 기업이 직접 재생에너지를 쓸 수도 없다.
재생에너지를 쓰려면 일반 전기료에 웃돈을 줘 재생에너지를 구매(녹색프리미엄제)하거나 한전을 통해 재생에너지사업자 전기를 구매(PPA)해야 한다. 기존 전력 구매보다 비용이 크게 들어 기업 입장에서 부담으로 작용한다.
충분한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재생에너지 구매 비용을 낮추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