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이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과 합의한 WCP 전환사채(CB) 매매를 일방적으로 제3자 우선매수권 지정 행사를 통보했다. 하지만 산업은행의 우선매수권이 행사되더라도 CB 소유권이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이 아닌 제3자에게 넘어갈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뉴스엔뷰] 산업은행이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과 합의한 WCP 전환사채(CB) 매매를 일방적으로 제3자 우선매수권 지정 행사를 통보했다. 하지만 산업은행의 우선매수권이 행사되더라도 CB 소유권이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이 아닌 제3자에게 넘어갈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의 동의가 없으면 우선매수권 행사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 역시 산업은행의 이 같은 통보에 즉각 반발하고 있고, 업계에서는 이번 우선매수권 행사를 놓고 “이번 딜의 주체와 실제 목적이 무엇인지를 놓고 여러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산업은행이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과 합의한 WCP 전환사채(CB) 매매를 일방적으로 제3자 우선매수권 지정 행사를 통보했다. 하지만 산업은행의 우선매수권이 행사되더라도 CB 소유권이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이 아닌 제3자에게 넘어갈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사진/뉴시스 제공
산업은행이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과 합의한 WCP 전환사채(CB) 매매를 일방적으로 제3자 우선매수권 지정 행사를 통보했다. 하지만 산업은행의 우선매수권이 행사되더라도 CB 소유권이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이 아닌 제3자에게 넘어갈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사진/뉴시스 제공

최근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과 WCP CB 매수 계약을 체결한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은 지난 7월 8일 산업은행에 계약금을 납부하고 7월 29일 잔금을 지급키로 했으나, 잔금 지급을 이틀 앞둔 7월 27일에 산업은행으로부터 WCP가 우선매수권을 행사하겠다는 통보했다. 이 과정에서 WCP가 우선매수권 대상자로 지정한 곳은 당초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키움캐피탈이 아니라 키움캐피탈이 업무집행조합원(GP)인 신기술조합으로 밝혀졌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결국 키움캐피탈 및 키움 관련 계열사 자체 자금이 아니라 이른바 OEM 펀드 형식인 신기술조합이 결성됐다.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은 업계에서는 이번 딜의 주체와 실제 목적이 무엇인지를 놓고 여러 의혹이 나온다”면서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과 맺은 계약을 무리하게 중단시키고 제3자 우선매수권을 행사한 진짜 목적이 기존 계약의 지연에 있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 키움캐피탈이 GP로 있는 신기술조합이 우선매수권 행사 최종일인 지난 7월 29일까지 매수 대금을 모집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선매수권 지정이 취소되거나 계약이 해지됐다는 이야기가 없는 점이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 한다.

산업은행의 우선 매수권 행사와 관련해 또 다른 목소리는 “WCP CB 매각에 나서고 있는 노앤파트너스가 WCP의 기업가치를 2조원 ~ 2.5조원으로 책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과 산업은행이 1.4조원의 기업가치로 매매 계약을 체결한 것이 자신들의 매각 작업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란 주장이다.

이와 관련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 관계자는 “우선매수권 제3자 지정 과정에 노앤파트너스가 개입했다는 소문을 지난 달 중순부터 다수의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지속적으로 들어왔다”며 “이러한 소문이 사실이라면 노앤파트너스 및 관련 당사자들은 이베스트-BEV신기술조합과 산업은행이 정당하게 맺은 거래를 방해한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