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투병 끝에 타계…"장례는 가족장으로"

[뉴스엔뷰=전승수 기자]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25일 새벽 별세했다. 향년 78세.

이날 삼성전자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께서 2020년 10월 25일 별세했다"고 밝혔다. 장례는 고인과 유가족의 뜻에 따라 가족장으로 간소하게 치러진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2020.10.25./사진=삼성전자 제공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2020.10.25./사진=삼성전자 제공

이 회장은 지난 2014년 5월 급성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서울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뒤 6년간 투병해왔다.

당시 고인은 자택에서 급성 심근경색을 일으켜 인근 순천향대학 서울병원으로 옮겨져 심폐소생술(CPR)을 받았다. 이후 삼성서울병원으로 옮겨져 막힌 심혈관을 넓혀주는 심장 스텐트 시술을 받고 심폐기능이 정상을 되찾자 입원 9일 만에 중환자실에서 병원 20층에 있는 VIP 병실로 옮겨져 장기 입원 치료를 받았지만 끝내 타계했다.

이 회장은 1942년 1월 9일 대구에서 고 호암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일본에서 중학교를, 서울에서 서울사대부고를 졸업했고 일본 와세다 대학을 거쳐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학했다. 그리고 2014년 입원 전까지 약 27년간 삼성그룹을 이끌었다.

이 회장은 1966년 중앙일보 산하 동양방송 이사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뎠다. 그는 1978년 삼성물산 부회장을 맡았다가 1979년 삼성그룹 부회장으로 이동했고, 이병철 회장이 타계한 이후 1987년 12월 삼성그룹 회장 자리에 올랐다.

이후 반도체 사업 등을 잇달아 성공시키며 삼성전자를 명실상부한 세계 초일류 기업으로 키워냈다. 그가 경영을 맡은 27년간 삼성 매출은 40배, 시가총액은 300배 이상 커지는 등 크게 성장했다.

그의 경영 철학은 지난 1988년 "세기말적 변화가 온다. 초일류가 아니면 살아남을 수 없다"며 '제2의 창업'을 선포한 것을 기점으로 뻗어 나간다. 그리고 1993년 6월 7일 독일 프랑크푸르트 캠핀스키호텔에서 '신경영'을 선언하면서 한 말인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꿔라"로 축약된다. '신경영'은 삼성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밑거름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회장은 '신경영' 외에도 '천재경영', '창조경영', '마하경영' 등의 화두를 던지며 삼성의 성장을 이끌었다. 이를 바탕으로 각 계열사 사장들과 경영진은 '위기경영', '준법경영', '나눔경영', '상생경영'을 그룹 전체로 확산시켰다.

이후 삼성은 ▲과거 양과 개선 활동이 중심이었던 '관리의 삼성'을 '삼성 1.0' ▲질과 혁신 경쟁으로 전환했던 '전략의 삼성'을 삼성 '2.0'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선 품격과 창의성, 상생이 중심인 '창의의 삼성'을 삼성 3.0으로 정리하기도 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홍라희 전 리움미술관 관장, 아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딸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 사위 김재열 삼성경제연구소 사장 등이 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