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2030세대를 공략하기 위한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김상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산하 청년특별위원장은 3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당선인과 새 정부가 좋은 정책과 마인드, 진정성이 있어도 청년층에서 이해하지 못하거나 알지 못하면 다 소용없는 일”이라며 “인수위에 설치된 '열린'청년특위를 통해 누구나 함께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     © 사진=뉴스1


이를 위해 청년특위는 인수위 활동 기간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결합한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청년층 멘토단 이른바 ‘명예소통위원(가칭)’을 출범시키는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소통 창구를 만들 계획이다.

 

홈페이지는 청년들이 애로사항과 고충을 토로하면 박 당선인이 직접 댓글을 다는 이른바 ‘신문고’ 형식으로 운영될 방침이다.

 

또 명예소통위원은 300명 규모로 시작해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김 위원장은 “명예소통위원은 평범한 청년들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잘 전달하고, 열정이 있고, 새 정부의 철학에 동의하면서도 비평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사람을 모집하겠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청년특위는 4일 전국 80여 명의 대학총학생회장 등을 만나 반값등록금을 포함한 청년층 공약에 대해 간담회를 갖는다.

 

김 위원장은 “반값등록금은 단순히 20대의 문제가 아니라 50대의 문제다. 세대 간의 문제만이 아니라 시대의 문제”라며 “등록금 부담이 덜어진다면 일자리 창출이 자연스레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청년 일자리와 관련해선 “창조경제 바탕으로 IT, 문화 콘텐츠 등 고부가 가치가 높은 산업을 집중해서 양성할 것”이라며 “이 산업은 고용유발 효과도 크고 젊은이들이 취업하기 원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진다면 좋은 일자리 창출이 함께 이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