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동양경제] 소방관들이 화재 진압시 사용하는 개인안전장비의 노후화가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일부 지방은 개인안전장비의 노후율이 5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민주통합당 박남춘 의원이 19일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개인안전장비 노후현황’에 따르면 소방방채청과 지방소방서가 현재 보유한 방화복과 안전화, 헬멧, 방열복의 평균 노후율이 각각 24.1%, 25.4%, 25.2%, 21%로 나타나 모두 20%를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안전장비의 노후율은 16개 시·도별로도 양극화가 뚜렷했다. 방화복의 경우 노후율이 가장 높은 광주(49.2%)가 서울(2.9%)보다 17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안전화는 대구(58.2%)와 제주(0.3%)간의 차이가 무려 194배에 달했으며, 헬멧은 부산(54.4%)이 서울(2.6%)의 21배, 방열복은 부산(46.5%)이 서울(3%)의 16배로 조사됐다.


박남춘 의원은 “2005년 이후 특별교부세 지원이 중단되면서 지방의 소방장비보강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며 “19년 된 사다리차 승강기 쇠줄이 끊기면서 소방관이 추락사한 사건에서 보듯이 소방장비의 노후화는 성능에 대한 안전을 장담하기 어려워 화재진압 시 또 다른 안전사고로 연결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국고보조사업이 아닌 지방사무라는 이유로 소방장비 교체예산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가 국민의 안전과 생명보호라는 큰 틀에서 소방장비의 현대화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