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안배 차원의 나눠 먹기식 입지선정 반대
이 자리에서 김 경상북도지사는 내륙형 삼각벨트조성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공정하고 객관적인 입지선정 촉구했다.
특히 이날 김관용 지사는 현재의 과학벨트 입지 평가방식과 관련하여 “국토균형발전을 도외시하고 수도권의 비대화를 조장하는 접근성 지표와 광역시와 일반시를 비교하는 동일한 잣대로 비교하는 터무니없는 평가방식은 과학계와 국민들이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 지사는 “과학벨트는 SOC사업과 같이 나눠먹기식으론 성공할 없다. 삼각벨트 구상은 과학계가 경고한 정치논리와 지역이기주의가 야합한 최악의 논리이며 이는 반드시 배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언론 상에 오르내리는 내륙삼각벨트나 평가순위 사전유출 의혹 등 정치적 개입이나 특정 지역을 염두에 둔 사전포석으로 의심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특별법에 정한 규정과 절차에 따라 공정하고 개관적인 선정해야할 것”이라고 정부에 강력히 촉구했다.
충청권에는 이미 2014년까지 세종시에 9부 2처 2청 및 35개 공공기관입주 예정으로 있는데다 과학분야도 국가 연구개발 예산의 76.4%가 수도권 및 충청권에 투자되고 있다. 소위 충청권은 제2의 수도권이라는 시각이다.
또한 경북도는 그동안 경북(G)ㆍ울산(U)ㆍ대구(D)의 유치공조에 분열을 초래할 수 있어 삼각벨트 논의가 자칫 동서갈등을 초래로 이어져 국론분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과학적 문제가 정치적 문제로 비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