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고신용자의 신용대출 비중이 은행에서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은행이 국회에 제출한 '2017년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기준 은행권 가계 신용대출 120조9000억원 중 1등급에서 3등급 사이의 고신용자 비중이 절반이 넘는 56.4%로 119조9000억원의 규모를 보였다.
반면 4등급에서 6등급 사이의 중신용자와 7등급에서 10등급 사이인 저신용자의 대출 비중은 각각 31.7%와 11.9%에 그쳤다.
고신용자의 비중은 지난 2015년 이후 8.7%p 증가해 급격한 확대 추세를 보였다.
이와 달리 중·저신용자들의 대출 비중은 지난 2년동안 각각 6%p, 2.7%p씩 감소했다.
이는 은행이 리스크 부담이 적은 고신용자들에게 대출 비중을 더 많이 둔 것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대출금리를 보면 은행의 중신용자 대출금리가 4.6%에서 7.6% 수준이고, 비은행금융기관의 중신용자 대출금리가.13.4%에서 22.5%로 나타났다. 중신용자가 은행에서 대출을 못 받는 경우 금리를 3배 이상 더 내야하는 상황이다.
저신용자의 경우 제2금융권에서도 대출이 힘들어 대부업체 등에 몰리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은행들이 자산건정성 악화와 높은 금리 적용에 따른 평판훼손을 우려해 지난 2014년 이후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취급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 가계 신용대출 시장에서 시장분할 심화와 업권 간의 금리격차를 좁히기 위해 정보의 비대칭성을 축소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김소윤 기자
newsnv@abckr.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