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쌍용건설이 회생절차 종료 이후 해외건설공사 수주의 확대로 경영 정상화에 재도약하고 있다.

사진 = 쌍용건설 제공

쌍용건설의 지난해 실적은 매출은 두바이투자청(ICD)가 인수한 3년 전보다 소폭 감소한 8,625억원이지만 영업이익은 284억원으로 흑자로 돌아섰다.

이런 상승세에 힘입어 2017년 수주 목표를 전년(1조 8000억원) 대비 77% 증가한 3조 2000억원, 매출 목표는 전년(8500억원) 대비 53% 증가한 1조 3000억원으로 수립했다.

또한 해외에서 두바이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적도기니 등 입찰중인 프로젝트 총 18건, 40억달러 수주를 추진할 계획이다.

쌍용건설은 올해 1분기 매출액 2279억 원, 영업이익 10억 원, 순이익 9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은 27.39% 증가했다.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이 글로벌 명가 재건을 위한 공격경영에 나서면서도 관리경영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김 회장은 법정관리의 쓰라린 경험을 재현하지 않기 위해 원가 투명성과 조직, 미분양부터 단단히 챙길 예정이다.

사진 = 쌍용건설 제공

최근 삼성물산 간부 출신인 김동욱 상무(주택사업 담당)를 전격 영입함으로써 리스크 관리를 비롯해 브랜드 관리를 위해 김 회장이 직접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외 원가관리 투명성에도 김 회장은 적극적이다.

김 회장은 무엇보다 투명한 원가관리 등 현장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깨닫고, △협력업체 재정비 △포지티브 시스템 운영 등 과거 불분명한 원가 상승의 재발 방지를 위해 체계적인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쌍용건설은 ICD 관련 개발 프로젝트를 적극으로 수주하고 성장 잠재력 높은 신규시장 진출을 통한 시장 다변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등 안정적인 공적기금이 활용되는 신규 지역 프로젝트도 참여할 예정이다.

앞으로 쌍용건설은 해외, 관급공사, 민간건축, 주택 등 4개 분야에 걸쳐 세부적인 수주 계획을 수립해 영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