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간의 위치 정보 고스란히 남아
사생활 침해 논란…소송까지 번지나


애플사의 아이폰(iPhone)이 사용자의 허락 없이 위치정보를 저장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아이폰 트래커(iPhone Tracker)’라는 전용 프로그램의 등장해 논란이 확산될 조짐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 저널이 아이폰 트래커를 테스트해본 결과 위치 정보 서비스를 종료하더라도 아이폰은 위치정보를 수집해 저장한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 기기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아이폰 트래커를 통해 테스트를 한 결과 사용자의 이동궤적이 1초 단위로 기록된 파일을 찾을 수 있다. 위치 정보는 핸드폰으로 전화나 문자를 사용할 때나 무선인터넷(Wi-Fi)를 사용할 때 수집되며 이용자가 위치 정보 저장 종료 기능을 설정할 수 없다. 6개월간의 사용자 이동경로를 조회할 수 있는 아이폰 트래커는 iOS4 이상 버전이 내장된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통해 사용이 가능하다.

 

아이폰 트래커는 원래 애플의 매킨토시 컴퓨터에서만 이용했지만, 최근 윈도우 버전 프로그램이 공개돼 일반 아이폰 사용자들까지 위치정보 기록을 확인이 가능해졌다. 다만 아이폰 트래커가 문제인 것은 개인의 위치정보가 타인에게 열람될 수 있어 이용자의 사생활 침해뿐 아니라 사용자의 정보가 해킹 위험으로부터 배제될 수 없다는 것.

 

아이폰 트래커에 대해 아이폰 이용자들은 “내 위치 정보를 다른 누군가가 알 수 있다니 소름끼친다”, “애플사는 빨리 이 사건에 대해 해명해야 할 뿐 아니라 앞으로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아이폰의 위치정보 저장 기능과 관련한 매체들의 보도에 대해 애플사가 즉각적인 대답을 내놓지 않은 가운데 최근 미국에서는 트래커 문제로 아이폰 유저들이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