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8 세계 산재사망노동자 시민추모주간 선포


[뉴스엔뷰 동양경제] “세계적으로 매년 220만명, 하루 5000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산업재해로 사망한다. 4월 28일은 세계인 모두가 죽어간 노동자들의 죽음을 기억하는 날이다. 이윤추구에만 몰두하는 기업의 무책임한 행위로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보장을 요구하는 공동행동의 날입니다”

 

건강권실현을 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 등 22개 단체는 23일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산업재해로 사망한 노동자를 상징하는 24개의 영정을 들고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밝혔다.

 

▲     © 강정미 기자


 

이들 단체는 “4월 28일은 죽은자를 기억할(Remember the Dead)뿐 아니라, 산 자를 위해 투쟁(Fight for the Living)하는 결의를 다지는 날로, 세계에서 노동자 생명의 존업성을 재확인하는 날이기도 하다”며 “한국은 OECD국가 가운데 산재사망률이 1위로 고용노동부 자료에 의하면 지난 2011년 산재로 사망한 노동자가 2114명에 이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숫자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공식통계로 집계되지 않은 산재사망이 적지 않다”며 “직업성 암에 걸려 세상을 떠난 삼성 노동자들을 포함에 직업성 질환에 걸려 사망한 노동자들은 이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이와 함께 “쌍용자동차 노동자나 KT노동자 등 사실상 기업이 죽인 것인 해고나 실직, 구조조정에 의한 자살, 뇌심혈관계 질환도 여기에는 포함이 안된다”라며 “산업재해로 인정받지도 못하는 억울한 노동자 죽음까지 포함한다면 한국의 산재사망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기업과 정부, 국회를 상대로 “기업은 이윤보다 노동자의 생명과 삶을 소중히 여겨야한다”, “정부는 기업이 노동자 생명에 대한 자신의 책임을 다 하는지 보다 엄격하게 지도, 감독해야 한다”, “국회는 원청기업이 하청기업 노동자 건강과 안전을 책임지도록, 노동자의 목숨을 앗아간 기업은 엄히 처벌받도록 관련 법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