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동양경제] 김진애 민주통합당 의원은 18일 서울지하철 9호선 임금 인상(500원) 시도에 대해 "이상득(이명박 대통령의 형) 의원 아들이 포함된 '탐욕의 이너서클(핵심 권력집단)'의 정경유착 탓"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정치의 의사결정권자가 좀 편의를 봐줄 수 있을 때 '한탕을 하자'는 그런 게 있지 않겠냐"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한심하게도 2005년 이명박 서울시장 재직 시에 했던 계약에 의하면 요금인상은 가능하게 돼 있더라"며 "이용자에 대한 예의도 아니고, 서울시와 미리 협의한 것도 아니라는 것이 문제"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이 의원의 아들 지영씨가 자산운용사 맥쿼리 계열사 대표로, 정치권의 특혜와 연결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는 지적에 대해 "그것도 있고, 또 하나의 대주주인 현대로템과 현대건설에 대해서도 어떤 특혜를 주려고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통상적으로 5% 내외인 수익률 보장을 해주는데 이 경우는 8.9%나 된다는 것은 굉장히 어색한 일"이라며 "지난 2006년에 여러 다른 민자도로의 최소 수익률 보장을 낮추거나 아예 없애는 조치를 했을 때도 지하철 9호선만큼은 안했는데, 특혜가 있다는 의혹이 있다"고 지적하고 "계약 과정의 전 과정을 협의 과정과 함께 자료로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 의원은 정부가 민영화를 추진 중인 수서발 KTX 문제에 대해서도 "요금을 인하할 수 있다고 국민들에게 좋다고만 보면 안되고 KTX 자체의 공공성을 생각해야 한다"며 "다른 적자노선들에 대해 KTX 수익으로 교차보조를 하고 있는데 수익 노선을 주고 나면 불가능해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건 정확하게 특혜"라고 지적하며 "조기에는 요금 20% 인하 등 이런 것을 '당근'으로 내놓겠지만 이후 '운영수익이 부족하다' 이러면서 요금을 올릴 가능성과 위험성을 지하철 9호선을 통해 보지 않았냐"고 말했다.
강정미 기자
kjm@abckr.net
